(포탈뉴스통신) 내년부터는 지하철 내 방화와 같은 사고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칸과 인접 칸 보안카메라(CCTV) 영상이 실시간 ‘종합관제센터’로 전송된다. 최대 11대의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위급상황 감시체계를 구축해 운행중단, 승객 대피 안내 등 발 빠른 조치로 시민 안전을 최대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종합관제센터’에서 사고 발생 열차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은 전국 최초다.
서울시는 지하철 1~8호선 열차에 대한 위급상황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내년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내년 6월까지 6호선을 제외한 1~8호선 지하철 355편성, 3,157칸에 대한 적용을 완료하고, 6호선은 열차무선통신망 구축 후 2027년부터 포함시킨다.
현재 지하철 한 칸당 2~4대의 CCTV가 설치돼 있으며, 비상 상황 발생시 기관사가 해당 영상을 직접 확인한 뒤 관제센터에 다시 한번 무선보고하는 방식이다.
이번에 구축하는 시스템은 화재 등으로 인해 차량 내 열·연기 감지기 등 센서가 작동하거나 승객의 비상 통화 시도 등 상황이 발생하면 관제센터 모니터링 화면에 자동 알림 팝업과 함께 사고 열차 칸과 인접 칸의 영상이 즉시 송출되는 방식이다.
앞서 모든 열차 내부 CCTV를 실시간으로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방식이 논의됐으나, 별도 통신망 구축에 수천억 원이 소요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사고 차량 선별 확인시엔 60억원 수준의 예산으로 가동이 가능하다.
열차 운행 정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존 열차무선통신망(LTE-R)을 최대한 활용하며, 비상상황 발생시 최대 11대 CCTV 영상을 SD급으로 변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열차를 선택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서울시는 이번 감지·대응시스템이 도입되면 관제센터에서 현장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주도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아울러 기관사와 협력해 한층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사고 및 비상상황 등 필요한 영상을 즉시‧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도 주목할 만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지난 5월 5호선 방화사건 이후 시민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시스템 구축을 통해 관제센터에서 사고를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시민 안전을 더욱 확실하게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하철 사고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