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서귀포시가 다시 찾고싶고 매력 넘치는 ‘문화관광도시 서귀포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역점 추진되는 '금토금토새연쇼'와 '원도심문화페스티벌'의 경제파급효과는 85억 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뚜렷한 성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금토금토새연쇼'와 '원도심문화페스티벌' 방문객 대상 설문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분석 전문가(제주연구원)에 의뢰하여 경제파급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서귀포시는 7월 25일 ~ 9월 28일까지 새연쇼와 원도심 문화행사 참여객 38,919명을 대상으로 소비지출비용과 행사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고, 응답자 1,735명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제파급 효과를 산정했다.
행사별로는 '금토금토새연쇼'가 생산유발효과 66억 8천만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8억 3천만 원, 취업유발효과 583명으로 나타났으며, '원도심문화페스티벌'은 생산유발효과 18억 6천만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억 1천만 원, 취업유발효과 162명으로 분석됐다.
분석결과 관광객의 숙박비·식음료비·쇼핑비 등이 지역경제에 직접 투입되면서 경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사 방문목적이 명확한 관광객일수록 1인당 평균 지출이 20만 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행사자체가 지역소비를 견인하는 효과가 컸다.
이는 문화행사가 지역상권을 중심으로 한 소비를 촉진하고 숙박·식음료·교통·쇼핑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제적 파급을 발생시킨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문화이벤트를 야간 시간대와 주말에 상설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야간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문화행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야간관광 콘텐츠의 상시 운영, 원도심 활성화 및 상권 연계 프로그램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 행사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도 문화·관광·경제가 선순환하는 매력적인 문화관광도시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라고 했다.
한편, 금토금토새연쇼 관람객의 96%, 원도심문화페스티벌 관람객의 95%가 전반적인 행사에 ‘만족’으로 응답하여, 문화행사의 질적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약 40~48%가 외부 관광객으로 나타나 단순 관람을 넘어 지역소비 확대에 기여도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된다.
[뉴스출처 : 제주도 서귀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