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는 10월 27일 광주광역시 소재 기러기 사육농장의 검사결과, 최종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확진되어 ‘가축질병 위기관리 실무매뉴얼’에 따라 위기경보가 최고 수준인'심각'단계로 격상되어 고강도 방역대책을 추진하여 도내 AI 유입 차단에 총력 대응한다고 밝혔다.
먼저, 경남도 ‘가축전염병 재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따라 기존 방역상황실을 ‘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하여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유지하고 유관부서와 협력체계를 강화한다.
또한, 도내 거점소독시설 20개소를 상시 운영함과 동시에 산란계 밀집지역과 대규모 가금농장 주변에 통제초소를 추가 설치해 출입 차량에 대한 소독 여부 등을 엄격히 관리한다.
경남도는 21일부터 나흘간 도내 소규모 농장(180호) 대상으로 방사사육 여부 등 방역상황을 긴급 점검한 데 이어, 방역이 취약한 가든형 식당(20개소)에 대하여 28일부터 일제 정밀검사를 실시하여 빈틈없는 방역에 나선다.
아울러, 심각 단계에서는 가금농장 등 축산관계자의 모임 행사는 금지하도록 조치하고, 가금농장에 대하여는 사람, 차량 등에 의한 오염원 유입 방지를 위해 육계(5일)와 육용오리(1일)의 입식·출하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검사 주기를 대폭 강화하여 닭, 종오리는 당초 1개월에서 2주 간격으로 단축하고 육용오리는 사육기간(43일) 중 3회 정밀검사를 실시해 감염 개체를 조기에 색출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과거 야생조류 AI 검출이력 등 발생 위험이 높은 중점방역관지구 내 오리 사육농가에 대해 11월부터 4개월 간 사육제한을 실시하며, 철새도래지를 비롯해 가금농가와 관계시설에 대한 소독을 강화하기 위해 28일부터 2주간을 ‘일제 집중 소독주간’으로 지정하여 공동방제단(86개반)과 소독방제차량(37대)를 총 동원하여 소독을 강화한다.
정창근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지난 9월 이후 전국에서 두 번째 고병원성 AI 발생이 보고됐으며, 도내에도 철새 마릿수가 증가하는 등 AI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라며, “축산농가에서는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도내 고병원성 AI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국내 고병원성 AI 가금농장 발생은 9월 12일 경기 파주와 10월 21일 광주에서 각각 확인된 반면, 야생조류에서는 아직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일본에서 10월 들어 가금농장 1건, 야생조류에서 2건이 확인됨에 따라 해외 유입 가능성에 대비 긴장의 고삐를 당기고 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