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교육

교육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5 결과 발표

청년층(만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은 70.6%(’24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포탈뉴스통신)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9월 9일(프랑스 현지 시각 09:00)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25」의 주요 결과를 분석·발표한다.

 

OECD는 「OECD 교육지표」를 통해 교육 전반에 관한 국제 비교 자료를 매년 제공하여 회원국들이 교육정책 수립 및 교육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2025」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교육에 투자된 재정적 자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 : 2022년 기준

 

2022년 우리나라 초등~고등교육 전 단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교육비 비율*은 5.6%로 2021년보다 0.4%p 증가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7%로 2021년 대비 0.5%p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초·중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4.0%로 2021년 대비 0.6%p 증가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한편, 고등교육 단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0.6%로 2021년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 2022년 기준

 

2022년 우리나라의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19,805로 2021년보다 24.9%($3,947↑)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초·중등교육 단계의 경우, 초등 $19,749, 중등 $25,267로 2021년 대비 각각 32.8%($4,876↑), 30.9%($5,968↑)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상회했다.

 

고등교육 단계의 경우 $14,695로 2021년 대비 8.3%($1,122↑)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 교사, 학습환경 및 학교조직

 

교사 1인당 학생 수 및 학급당 학생 수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의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5.3명, 중학교 12.8명, 고등학교 10.5명으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2022년* 대비 감소했으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023년 우리나라의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1.6명, 중학교 25.7명으로 2022년 대비 감소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국·공립학교 교사의 법정 급여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초임교사의 법정 급여는 $37,773로 2023년* 대비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2024년 우리나라 국·공립학교 15년차 및 최고호봉 교사의 법정 급여는 $65,765 및 $104,786로 2023년* 대비 증가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3. 교육에의 접근·참여와 진학

 

연령별 취학률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의 연령별 취학률은 만 3세 97.9%, 만 4세 94.9%, 만 5세 94.8%, 만 6~14세 98.6%, 만 15~19세 87.2%로 만 5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았다.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 추이 : 2013, 2018,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비율은 4.6%로 2013년부터 증가하는 추세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보다 낮았다.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국적별 분포 : 2023년 기준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에서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중 아시아 국적을 가진 학생의 비율은 94.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보다 높았다.

 

2023년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학생 국적별 분포 비율은 아프리카 1.9%, 아시아 94.4%, 유럽 2.0%, 라틴아메리카 0.6%, 북아메리카 1.1%, 오세아니아 0.1%이다.

 

4.교육기관의 산출 및 학습 효과

 

고등교육 이수율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56.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고, 특히 청년층(만 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70.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

 

교육단계별 고용률 : 2024년 기준

 

2024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전체 교육단계 고용률은 76.1%로 2023년보다 0.3%p 증가했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았다.

 

교육단계별 상대적 임금 : 2023년 기준

 

2023년 우리나라 성인(만 25~64세)의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고졸자 임금=100 기준)은 전문대학 졸업자 109.9%, 대학 졸업자 132.5%, 대학원 졸업자 176.3%로, 2022년보다 상대적 임금 격차가 증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누리집에 9월 중 탑재될 예정이며,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OECD 교육지표 2025」 번역본을 12월 중 발간하여 교육통계서비스 누리집에 공개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교육부]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상원, 안산시와 함께 ‘경기바다 함께해(海)’ 동참…깨끗한 해양 환경 위해 임직원 참여 활발 (포탈뉴스통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해양환경 보호 활동 ‘경기바다 함께해(海)’를 지난 11일 안산시 방아머리 해변 일대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 ‘경기바다 함께해(海)’는 해양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 깨끗한 경기바다를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경기도가 추진해 온 캠페인이다. 경기도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협력해 관광객이 많이 다니는 해변에서 해양 환경 보전활동을 펼친다. 이날은 경상원과 안산시가 협력해 10여 명의 직원이 안산 방아머리를 방문해 플라스틱, 폐어구, 일회용품 등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고 관광객과 인근 상인들에게 생활 속 환경보호 실천을 독려했다. 안산 방아머리 해수욕장은 여름휴가 기간과 명절 전후로 많은 관광객들이 다녀가는 곳으로, 경상원은 이 기간에 맞춰 해양 정비 활동을 펼치며 관광객들에게 깨끗한 바다를 선물하고 있다. 경상원은 지난해 처음 ‘경기바다 함께해’ 참여 기관으로 합류 후 작년에만 시흥 오이도항, 화성 전곡항 등 총 4차례에 걸쳐 해양환경 보호 활동을 펼쳤고 그 결과 ‘2024년 경기바다 함께해(海)’ 캠페인 참여 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n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