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3.3℃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8℃
  • 구름많음대전 15.9℃
  • 구름많음대구 15.5℃
  • 흐림울산 15.7℃
  • 광주 15.8℃
  • 부산 16.1℃
  • 흐림고창 16.2℃
  • 제주 18.1℃
  • 흐림강화 12.4℃
  • 흐림보은 15.2℃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4.7℃
  • 흐림경주시 14.0℃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국제

외교부·국회, 개발협력주간 계기 ODA 발전방안 토론회 공동 개최

시민사회, 학계, 국회, 유관부처 및 공공기관 등 참여

 

(포탈뉴스통신) 11월 27일 외교부는 국회 글로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과 함께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발협력주간 계기 ODA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글로벌 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 및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ODA 관련 정부 및 공공기관(외교부,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및 굿네이버스 등 시민사회 및 국제기구,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 등 학계가 참석하여 우리 ODA가 지향해야할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국회 글로벌지속가능·인도주의포럼 안철수, 이재정 공동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국제 기여를 높이기 위해 ODA의 양적 성장 외에 질적인 제고도 필요함을 강조하며, 중장기적·국가전략적 차원에서 ODA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이번 토론회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또한 강인선 2차관은 개회사에서 세네갈 ODA 사례를 소개하며 우리나라가 미래 인재 양성, 보건, 농촌개발, 공공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원조의 효과를 국제사회에 돌려주기 위한 노력을 지속중임을 설명하며, 앞으로 우리 ODA가 예산 및 사업규모 확대에 맞추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이용선, 이인선 의원은 축사를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ODA를 통해 국제사회에 책임을 다해야함을 언급하며, ODA 사업 과정에서 전문성 있는 시민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발제를 맡은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 신재은 정책센터장은 ▴ODA 분절화 개선, ▴ODA 성과 도출, ▴인도적 지원, ▴ODA 철학 관련 우리 ODA의 발전방안을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제시했다.

 

뒤이어 ODA 관련 시민단체, 학계,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패널들은 발제 내용과 관련한 심도 깊은 토의를 진행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KOICA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현지 거버넌스의 중요성 및 현지 시민사회와의 협력 강화 필요성, ▴유상 ODA 성과관리 및 유무상 연계 추진 노력, ▴개발효과성 담론 진전 필요성, ▴ODA 사업 수행시 민관협력 강화 및 국가의 단기·장기 전략과의 연결 중요성 등이 논의됐다.

 

이번 토론회는 개발협력주간(11.25.~29.)을 기념하여 외교부의 주관 하국회 글로벌 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 포럼이 주최했으며, 선진적·전략적 ODA를 추진하기 위해 ODA 효과성을 높이고자 국회·정부·학계·시민사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의견을 모으는 데에 의미가 있다.

 

외교부는 앞으로도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시민사회, 국제기구 및 학계 등과 협력하며 ODA 전략·정책 관련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예정이다.


[뉴스출처 : 외교부]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포탈뉴스통신)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