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 대구시 유형문화재 지정예고

 

(포탈뉴스) 대구 중구청에서 보물로 신청한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이 오는 27일 문화재청 고시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승격)된다.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大邱 慶尙監營 宣化堂)은 조선시대 지방관아 중 최상위 관직자였던 종2품 관찰사가 파견된 감영 중 경상도 감영의 정당(正堂)으로 조선시대 팔도와 읍치에 설치되었던 수많은 관청 건물 가운데 현존하는 드문 사례이며, 조선후기에 다시 시작된 강우 측정 기구인 측우대, 깃대를 꽂았던 깃대꽂이 등도 남아 있어 감영의 공간구성과 운영시설을 살필 수 있는 건축물이다.


또한 선화당은 400여 년간 제자리에서 이어져 왔으며, 인근의 징청각(澄淸閣, 시 유형문화재)과 함께 규모, 구조의 원형을 유지해 온 것으로 일부 변형을 거쳤지만 전체적으로 원형을 잘 유지하여 조선시대 감영을 이해하는데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로써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여 보존할 만한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와 함께 중구청이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신청한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또한 지난 11월 1일부터 30일간 지정예고를 마치고 대구광역시의 지정고시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大邱 普賢寺 木造如來坐像)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조각승 현진이 제작한 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1629년, 보물 제1999호), 대구 북지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대구시 문화재자료 제51호)과 얼굴, 아미타설법인의 수인, 옷 표현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유사하여 양식적으로 현진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일제강점기 동화사의 사찰재산대장인 ‘동화사본말사재산대장’에 의하면 이 불상의 원 봉안처는 동화사였으며 근대기에 동화사포교당인 보현사 건립 이후 이안된 것으로 보인다. 제작과 관련된 명료한 기록은 없으나 형태적 특성상 조선후기 최고의 조각적 역량을 지닌 현진의 작품으로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현진의 개인 양식 변천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에 류규하 중구청장은 “'달성토성ㆍ경상감영ㆍ대구읍성 유네스코 등재추진'에 따른 경상감영의 위상을 드높이게 된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의 보물지정과 중구의 문화역량을 다시 한 번 알릴 수 있는 대구 보현사 목조여래좌상의 시 유형문화재 지정에 대해, 중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하고 널리 알리며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토대로 삼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중구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청년농업인 간담회 개최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후 세종시 소재의 한 농원에서 ‘청년들의 기회와 희망, K-농업에서 펼치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청년농업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농원 대표의 안내를 받으며 복숭아 농장을 둘러봤고, 복숭아 수확 후 진행되고 있는 가지치기 작업을 함께했다. 농원 대표는 가지치기는 내년의 풍성한 결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설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미리 내년 수확을 준비하듯이 우리 농업·농촌의 밝은 미래를 위해 청년농업인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간담회에는 채소, 과일, 화훼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청년농업인 8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고추와 애플수박 등의 가격이 어떻게 되는지 물었고, 청년농업인이 재배한 청귤로 만든 음료를 나눠 마시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화훼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농촌이 다시 생명력 넘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며 우리 농업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양봉업을 하는 청년농업인은 “지금도 벌을 보면 너무 예쁘다”며 농업에 애정을 드러내면서도 젊은이들이 농촌에 뿌리내리기에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호소했다. 청년농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