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2 (일)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IT/과학

방통위, 이동통신 3사 위치정보 신속·정확해졌다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 공개…응답시간 등 개선

 

(포탈뉴스통신) 소방‧경찰 등 긴급구조기관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3사의 위치정보가 정확도와 응답시간이 개선되는 등 전년보다 신속‧정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 및 휴대전화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 및 경찰관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활동을 지원하고 이동통신 3사의 관련 기술 투자 및 품질 향상을 이끌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을 측정, 그 결과를 공개해 왔다.

 

이번 측정은 지난해 7~11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과 국내에 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기능에 대해 진행됐다.

 

먼저, 이동통신 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은 기지국과 위성항법시스템(GPS), 근거리 무선망(Wi-Fi)별로 위치기준 충족률과 위치정확도, 위치응답시간 등을 측정했으며, 도시, 지형, 실내‧외 등 다양한 환경을 반영해 전국 163개 지점에서 실시됐다.

 

품질측정 결과 ‘기지국’ 방식은 위치정확도(52.3m→25.0m)와 응답시간(3.0초→1.4초)이 개선됐고, ‘근거리 무선망(Wi-Fi)’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96.8%→98.9%), 정확도(20.1m→18.7m), 응답시간(4.2초→2.4초) 모두 향상됐다.

 

다만 ‘위성항법시스템(GPS)’ 방식은 2023년 대비 위치기준 충족률(97.7%→99.0%)과 위치응답시간(4.6초→1.7초)은 개선됐으나, 위치정확도(11.3m→12.7m)는 다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3사별로 품질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위치기준 충족률’은 ‘위성항법시스템(GPS)’ 방식의 경우 에스케이텔레콤(SKT) 99.8%, 케이티(KT) 99.3%, 엘지유플러스(LGU+) 97.9%로 나타났으며, ‘근거리 무선망(Wi-Fi)’ 방식은 에스케이텔레콤(SKT) 99.5%, 케이티(KT) 99.3%, 엘지유플러스(LGU+) 98.0%로 나타났다.

 

‘위치정확도’는 ‘기지국’ 방식의 경우 케이티(KT) 22.3m, 엘지유플러스(LGU+) 24.9m, 에스케이텔레콤(SKT) 26.0m였으며, ‘위성항법시스템(GPS)’ 방식은 에스케이텔레콤(SKT) 8.6m, 엘지유플러스(LGU+) 12.5m, 케이티(KT) 13.8m, ‘근거리 무선망(Wi-Fi)’ 방식은 에스케이텔레콤(SKT) 14.5m, 엘지유플러스(LGU+) 19.9m, 케이티(KT) 20.8m로 측정됐다.

 

마지막으로 ‘위치응답시간’은 ‘기지국’ 방식의 경우 케이티(KT) 1.0초, 에스케이텔레콤(SKT) 1.4초, 엘지유플러스(LGU+) 1.7초였으며, ‘위성항법시스템(GPS)’ 방식은 케이티(KT) 1.5초, 엘지유플러스(LGU+) 1.5초, 에스케이텔레콤(SKT) 2.0초, ‘근거리 무선망(Wi-Fi)’ 방식은 케이티(KT) 1.6초, 에스케이텔레콤(SKT) 2.2초, 엘지유플러스(LGU+) 3.5초로 나타났다.

 

휴대전화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기능 측정은 외국산 단말기, 자급제 단말기, 유심(USIM)이동 단말기 등 총 85종에 대해 긴급구조 요청 시 기지국과 위성항법시스템(GPS), 근거리 무선망(Wi-Fi) 별로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는지를 살폈다.

 

측정 결과 애플‧샤오미 등 외산 단말기는 전년과 동일하게 ‘기지국’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근거리 무선망(Wi-Fi)’ 위치정보는 이동통신 3사 측위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위성항법시스템(GPS)’의 경우, 샤오미 단말기는 케이티(KT) 망을 이용하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황에서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돼 전년도 미제공 했던 것에 비해서는 부분 개선됐다.

 

애플 단말기는 긴급통화 중이거나 긴급통화 종료 후 5분까지 위성항법시스템(GPS), 근거리 무선망(Wi-Fi) 정보 등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계산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급제 단말기와 유심이동 단말기는 2023년과 동일하게 기지국과 위성항법시스템(GPS), 근거리 무선망(Wi-Fi)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고 있었다.

 

방통위는 2024년에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품질 측정 지점을 기존 도심에서 시골과 도서, 산간지역 등으로 확대했으며, 향후 외산 단말기의 위치정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품질평가 대상 확대 및 측정방법 다양화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각종 긴급구조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치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긴급구조기관과 이동통신 3사, 단말기 제조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방송통신위원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2025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개막. 김동연 “통큰세일 계기로 상권 살아나고 도민 장바구니 물가 걱정 덜길” (포탈뉴스통신) 경기지역 400여 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참여하는 소비촉진행사 ‘2025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이 21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개막식을 열고 9일간 대장정에 돌입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경기도가 통 크게 준비했다. 작년 40억 예산을 올해 100억으로 2.5배 늘렸다. 또 (참여)시장도 2배 이상 늘려서 경기도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다 합쳐서 400곳 넘는 곳 전부 혜택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큰세일을 계기로 지금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또 골목상권 계시는 많은 분들 힘내시기 바란다. 시장이 활기차게 돌아가고 장사가 잘 돼서 상권이 다시 살아나기를 바란다”며 “도민 여러분들께서는 장바구니 물가 걱정 좀 덜었으면 한다. 지금 최대 20%까지 할인(환급) 행사까지 하니까 마음껏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개막식 후 시장을 돌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배우자와 함께 온누리상품권과 현금으로 과일과 채소 등 15만 원가량 장을 본 김 지사는 통큰세일 혜택으로 온누리상품권 2만 원을 환급받았고 이 상품권으로 인근 가게에서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