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이상기후와 유통 환경 변화, 소비자 요구 다변화로 농산물 저장, 유통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저장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돼 눈길을 끈다.
농촌진흥청은 4월 21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농산물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최신 저장기술 실용화 방안’을 주제로 학술토론회(심포지엄)를 연다.
(사)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사)남도푸드포럼과 공동 주최하는 이날 행사에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회원, 식품 가공업체 관계자, 저장·유통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1부에서는 ‘저장 기술의 현재와 개발 필요성’을 주제로 △케이지시(KGC)인삼공사 박철수 소장이 ‘인삼의 재배 현황과 수확 후 저장 관리 애로사항’ △(주)케이앤피푸드 김승환 대표가 ‘이상기온에 따른 무 작황 피해와 국내 식품산업에 미치는 영향’ △영농조합법인 나비팜 김철환 회장이 ‘봄 무와 가을 무의 장기저장 현장 애로사항’에 대해 발표한다.
2부에서는 ‘최신 기술 개발 동향’을 주제로 △농촌진흥청 이진수 농업연구관이 ‘농산물 저장 품질 관리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재경 책임연구원이 ‘방사선을 이용한 농산물 저장기간 연장 연구’ 현황을 소개한다.
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전형원 선임연구원이 ‘수확 후 작물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플라즈마 저장 기술’ △전남대학교 김웅희 교수가 ‘단파장 적외선 영상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품질평가 기술’을 발표한다.
3부에서는 발표자와 현장 전문가들이 ‘농산물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실용화 방안’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간다.
(사)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강성국 회장은 “이번 행사는 학계, 산업계, 연구 기관이 공동으로 기획한 실용 중심 행사로, 농산물 저장·유통 분야의 현실적 해법을 찾는 의미 있는 자리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명수 원장은 “저장·유통 기술은 농산물 수급 불안을 해결하고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라며 “학계, 산업계와 역량을 결집해 우수한 기술이 현장에 더 빠르게 녹아들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뉴스출처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