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연예/방송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권한솔, 원작 여주 조은애로 색다른 매력 예고!

 

(포탈뉴스통신) 권한솔이 청초한 비주얼과 고운 분위기로 원작 여주 조은애의 매력을 전한다.

 

오는 6월 11일(수) 첫 방송을 앞두고 있는 KBS 2TV 새 수목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연출 이웅희, 강수연/극본 전선영/기획·제작 스튜디오N, 몬스터유니온)는 평범한 여대생의 영혼이 깃든 로맨스 소설 속 병풍 단역이 소설 최강 집착남주와 하룻밤을 보내며 펼쳐지는 ‘노브레이크’ 경로 이탈 로맨스 판타지 드라마.

 

극 중 권한솔은 조선시대 배경의 원작 소설 속 여주인공 조은애 역을 맡았다. 조은애는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천애 고아가 된 뒤 우연한 기회로 거상의 수양딸이 된 인물.

 

여기에 남자 주인공 이번(옥택연 분)과 얽히며 본격적인 서사의 중심에 들어서는 전형적인 설정값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원작에서의 이야기일 뿐. 단역에 불과했던 차선책(서현 분)이 예기치 않게 이야기의 중심으로 들어서면서 조은애는 점차 메인에서 밀려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조은애는 배역에 주어진 정형화된 틀을 벗어난 새로운 면모로 극의 흐름에 변화를 줄 예정이다.

 

공개된 사진에는 조은애로 분한 권한솔의 모습이 담겨 있다. 흩날리는 꽃잎 아래 등장하는 순간과 연등이 떠 있는 밤하늘 아래 미소 짓는 표정에서는 소설 속 여주인공의 정서가 은은하게 묻어난다.

 

이어 술잔을 앞에 두고 누군가와 마주한 모습에서는 단단한 눈빛으로 조은애의 흔들림 없는 내면을 드러낸다.

 

이처럼 소설 속 여주인공이라는 독특한 설정을 연기하게 된 권한솔은 “원작 웹소설이 워낙 인기 있었고 원작의 팬분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어 걱정도 됐지만 잘해내고 싶은 마음이 컸다”고 극의 합류하게 된 소감을 전했다.

 

이어 조은애라는 인물에 대해 “초반엔 거상의 수양딸로서 단아하고 정숙한 모습을 보이지만 개인적으로 갖고 있는 결핍들이 드러나면서부터는 지지 않는 기세를 뿜어낸다”며 “한 인물이지만 마치 다른 인물을 표현하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반전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조용한 듯 강단있는 조은애로 분한 권한솔의 반전 매력은 오는 6월 11일(수) 밤 9시 50분 KBS 2TV에서 첫 방송되는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출처 : RNX]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공실 없는 창고 비즈니스, 로봇 자동화 시스템 기술로 공유경제 혁신을 이끄는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답을 찾다! (포탈뉴스통신) 30년 기술력으로 만드는 '공간 자산', 가변형 공유창고 세대창고, 무인창고, 가변형 공유창고까지. 도심 속 유휴공간을 고수익 자산으로 바꾸는 혁신이 시작됐다. 그 중심엔 로봇 자동화의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있다. 로봇 자동 용접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자재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은 위텍시스템은 최근 공유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변형 공유창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위텍시스템은 국내 유수의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뿐만 아니라, 박스하우스, 룸플러스, 파크스 등 무인창고 전문 브랜드를 통해 다수의 납품 실적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졌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권 중심의 임대사업자와 협력하여 100여 개 현장에 납품, 실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 중이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자동화 설비 위텍시스템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조 기술을 넘는다. 독일 쿠카로봇 동북아 지사장 출신인 김하학 대표의 리더십 아래, 설계부터 생산, 납품, A/S까지 전 과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는 2배,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