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경상국립대학교 해양과학대학은 글로컬대학 30 사업의 일환으로 전남대학교와 공동으로 주최한 대학 간 교류 프로그램 ‘한려수도 역사의 바다 탐방’을 5월 16~18일 2박 3일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이번 대학 간 교류 프로그램은 경상국립대학교와 전남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해전을 따라가는 여수~통영 해상역사 탐방 코스와 해양 안전 교육 등으로 구성됐다.
이순신 장군의 승선지, 유적지, 해상 격전지, 한산해전 학익진 승전 바다, 통제영, 제승당 등을 탐방하며, 전국 대학을 대표할 수 있는 해양 역사 교육 프로그램의 단초가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참가자들은 여수의 전라좌수영 유적지(충민사, 진남관, 거북선광장), 남해의 노량항과 충렬사, 사천 선진왜성, 통영의 한산도 제승당과 통제영, 세병관 등을 탐방하여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와 승전의 바다를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경상국립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수산미래교육원이 주관하고 경상국립대학교와 전남대학교가 공동으로 참여해 추진한 교류 프로그램으로, ‘이순신 장군의 한려수도 역사의 바다 탐방’프로그램의 양 대학 1기 개척자로 의미를 남겼다.
경상국립대학교와 전남대학교는 2022년 4월 지역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했으며, 2022년 5월에는 통영의 해양과학대학과 여수의 수산해양대학이 협약을 체결하고 대학 간 협력사업 추진을 본격화했다.
이번 ‘한려수도 역사의 바다 탐방’은 협력의 결실이자 첫 번째 교류 프로그램이다.
첫날 여수 청소년해양교육원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열고 여수 지역의 주요 이순신 유적지를 탐방하고, 해양 안전 강좌와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역사의 현장에서 배우는 실질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5월 17일 오전 참가자들은 여수항 해상 순례 후 경상국립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실습선 새바다호의 부두로 입항하여 바다를 매개로 한 교류와 연결을 상징적으로 완성했다.
이 입항은 참여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로 꼽혔다.
여수에서 열린 개회식에서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김위식 부학장은 인사말에서 “이순신 장군의 정신을 되새기며 지역 간 연대와 해양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라고 멀했다.
전남대학교 출신 구민호 여수시의원도 환영사에서 “양 대학의 협력은 지역균형발전과 미래 해양인재 양성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프로그램에 대해 기대와 지지를 표했다.
마지말 날에는 통영 한산도 제승당과 통제영 유적지, 해설 체험 등을 통해 참가자들은 해양 역사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이 다졌다.
경상국립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수산미래교육원 도진웅 센터장(해양토목공하과 교수)은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체험이 아니라 해양과학 인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대학 간 해양교육 거버넌스의 우수 사례가 됐다.”라며 “앞으로도 전남대학교와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실질적인 교육성과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경상국립대학교 글로컬대학 30 사업의 일환으로, 해양과학대학의 지역자원 연계 교육을 활성화하고 해양 인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해양산업 글로벌 리더를 키우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
경상국립대학교는 앞으로도 양 대학은 물론 전국의 국가거점국립대학 학생들도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혁신적 교육 모델을 발전시키고, 미래를 대비한 지속 가능한 해양 교육과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국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