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IT/과학

과기정통부, 반도체 연구개발 통합성과교류회 개최

반도체 분야 12개 사업의 연구 성과추진 현황 공유

 

(포탈뉴스통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과 함께 5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2025년 과기정통부 반도체 연구개발 통합성과교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반도체 분야 원천기술개발, 기반시설(인프라), 인력양성, 국제협력 관련 12개 주요 연구개발 사업의 수행기관과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연구성과와 기술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연구자 간 협력 관계망(네트워크)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반도체 성과교류회는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메모리 내 연산 수행 소자(PIM) 인공지능반도체사업단, 국가반도체연구정책센터, 시스템반도체융합전문인력육성센터, 한-미 반도체 연구개발(R&D) 협력센터, 나노종합기술원 등 6개 주요 기관의 공동주관으로 개최되며, LG이노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대 등 약 120개의 과제 수행기관이 참여(참여기관 267개, 참여인력 4,184명(중복포함))하여 연구 진행 현황과 기술 성과를 폭넓게 공유할 예정이다.

 

1, 2일차 주요 프로그램 : 반도체 연구개발, 기반시설(인프라) 사업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 메모리 내 연산 수행 소자(PIM) 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 등 반도체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사업과 공공팹과 연계하여 반도체 전공 대학(원)생이 직접 설계한 칩을 제작해주는 마이칩(My Ch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시설(인프라) 활성화 사업의 성과 발표가 진행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한 3인을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 3일차 주요 프로그램 :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반도체첨단패키징전문인력양성, 시스템반도체융합전문인력육성 등 인력양성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발표가 이어지며,'시스템반도체융합전문인력양성 공동 연찬회(워크샵)'일환으로 기업 발표 분과가 함께 운영된다. 해당 분과에서는 인력양성센터에서 공부 중인 석·박사 학생들이 기업의 연구개발 사례를 공유받고, 해당 분야 취업과 진로 설계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할 예정이다.

 

◇ 4일차 주요 프로그램 : 반도체 국제동동연구 사업

 

반도체 분야의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한-미, 한-유럽연합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이 참여하여 세계 반도체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공동연구 및 인적 교류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김성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번 반도체 성과교류회는 개별 과제 간 교류의 수준을 넘어,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12개의 주요 사업 간 연계성과 융합 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이번 교류회를 통해 반도체 연구개발의 전 주기 생태계 간 협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산·학·연이 긴밀히 협력하여 반도체 연구개발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토이슈



사회

더보기
기획재정부, 유엔기후변화 사무국, 글로벌녹색성장기구와 협력하여 '글로벌 자발적 탄소 시장(GVCM)' 구축 추진 (포탈뉴스통신)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5월 29일 목요일 정부서울청사에서 ➊사이먼 스틸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노라 함라지 부사무총장 대리 서명), ➋김상협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총장과 각각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GVCM)’ 추진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은 기존 자발적 탄소시장보다 신뢰도를 높여서 글로벌 거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기존 문제점을 개선한 탄소시장 모델이다. 기획재정부와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 지난 2024년 11월 28일에 파리협정 제6조에 부합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의향서에 서명했다. 이번 양해각서 서명은 협력의향서 서명의 후속조치로서, 각 기관별 협력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기획재정부와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 모델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탄소 크레딧 발행 모델 개발, 탄소 크레딧 국제 거래 촉진 방안 마련, 개도국 역량 개발 방안 구축, 민간 투자 활용 방안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