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7 (금)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회

제주지역 하수처리장 탈취시설 배출가스 검사‘이상 무’

도내 8개 하수처리장 유해인자 측정 결과 인체 노출 기준 대비 미미한 수준

 

(포탈뉴스통신)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는 도내 하수처리장 탈취설비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의 인체 유해성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탈취약품으로 인한 인체 유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하수처리장 탈취기 약품 독성 논란에 대한 도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상하수도본부는 지난 3월 대한산업보건협회에 의뢰해 도내 8개 하수처리장 탈취기 설비 배출가스에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염화수소, 수산화나트륨)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도내 8개 하수처리장 모두 측정값이 인체 노출기준에 현저히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수처리장 지점별 가장 높은 측정값 기준으로 염화수소는 제주(0.0024), 동부(불검출), 서부(0.003), 보목(0.0024), 색달(불검출), 대정(0.0046), 남원(불검출), 성산(0.0024) 등으로 인체 노출기준(1ppm) 대비 8개 하수처리장 평균 측정값(0.00185)이 1/500 미만 수준으로 조사됐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일명 가성소다)은 제주(0.0334), 동부(0.0703), 서부(0.0459), 보목(0.0965), 색달(0.1102), 대정(0.1036), 남원(0.0642), 성산(0.0942) 등 인체 노출기준(2ppm) 대비 8개 하수처리장 평균 측정값(0.0773)은 1/25 미만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25조 및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44호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에 근거해 하수처리장 내 배출가스 최고 노출 지점에서 지역시료 채취방법으로 측정했으며, 탈취설비 배출가스 배출구와 민가에 가장 인접한 하수처리장 부지경계 등 총 3개 지점을 선정해 진행됐다.

 

염화수소의 경우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했으며, 수산화나트륨의 경우 최고 노출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물질로서 최고노출시간대(09:00~12:00)에 단시간(15분) 측정으로 실시됐다.

 

좌재봉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조사 결과 측정된 수치는 인체 노출기준 대비 매우 낮은 수준으로 하수처리장에서 사용하는 탈취기 약품 성분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우려가 없다”며 “도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삼고 지속적인 시설점검과 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제주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전 세계가 주목한 민선8기 경기도의 ‘기후경제’ 3년,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다 (포탈뉴스통신) “기후는 곧 경제다.” 지금의 기후위기는 단순한 날씨 문제가 아니라, 산업과 복지, 기술과 국가 경쟁력 전체를 뒤흔드는 거대한 전환의 시작점이다. 한국은행은 기후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매년 0.3%포인트씩 낮아지고, 2100년 국내총생산(GDP)은 최대 21%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기후위기가 미래 경제를 위협하는 실질적인 리스크라는 사실은 더 이상 부인할 수 없다. 이에 경기도는 ‘기후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겠다’는 방향을 분명히 하며, 기후대응을 넘어선 ‘기후경제’라는 새로운 전환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기후경제 비전선포식’을 통해 이러한 방향성을 천명하며, 민선 8기 경기도가 추진해온 핵심 정책들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지난 3년간 ▲경기 RE100 ▲3대 기후 프로젝트(기후보험·기후위성·기후펀드) ▲도민참여형 기후행동이라는 전략 축을 중심으로, 전국을 넘어 국제사회에서도 주목받는 기후정책 모델을 완성해 나가고 있다. ◇ 전방위 탄소중립 전환, 경기 RE100 : 공공부터 산업·도민·기술 스타트업까지,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