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정채숙의원 민간위탁 사무, '부산광역시 민간위탁 기본조례 일부개정조례안'발의!

연속하여 민간 위탁하는 사무에 대해 6년이 경과한 후에는 반드시 의회의 동의를 받도록 규정.

 

(포탈뉴스통신)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정채숙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민간위탁 사무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부산광역시 민간위탁 기본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 해당 조례안은 6월 10일 열린 제329회 정례회 기획재경위원회 상임위 심사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안은 민간위탁 사무가 장기화되거나 예산이 변화하는 경우, 시의회의 심의 및 통제 기능을 보다 명확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 의원은 “민간위탁 제도의 효율성과 전문성은 중요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공공성과 책임성 확보 또한 필수”라며, “이번 개정을 통해 예산이 투입되는 위탁사무에 대한 시의회의 실질적인 견제 기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행 조례는 위탁사무가 △전액 국비사업이거나 △연간 위탁금액이 3억 원 이하일 경우, 재계약 시 시의회 동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조치지만, 일부 민간위탁 사무가 시의회의 심의 없이 장기간 반복되거나 예산이 대폭 증가해도 별도 심의 없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실제로 지난 5월 제327회 임시회에서는, 관광마이스국이 민간위탁 사무에 대해 3억 원을 초과하는 예산 변동이 있었음에도, 조례상 동의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시의회가 이를 제재할 수 없었던 사례가 있었다.

 

2025년 현재 부산시의 민간위탁 사무는 총 171건, 43개 부서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예산 규모는 수백억 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민간위탁이 철저한 공공 감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정채숙의원은 “이번 조례 개정은 단순히 행정 절차를 강화하려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세금이 올바르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투명하게 검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고 했다. 민간위탁 제도가 시민의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서 ‘책임성’과 ‘투명성’이라는 두 가지 원칙이 균형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본 조례의 개정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행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발굴에 힘쓰겠다고 했다.


[뉴스출처 : 부산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공실 없는 창고 비즈니스, 로봇 자동화 시스템 기술로 공유경제 혁신을 이끄는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답을 찾다! (포탈뉴스통신) 30년 기술력으로 만드는 '공간 자산', 가변형 공유창고 세대창고, 무인창고, 가변형 공유창고까지. 도심 속 유휴공간을 고수익 자산으로 바꾸는 혁신이 시작됐다. 그 중심엔 로봇 자동화의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있다. 로봇 자동 용접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자재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은 위텍시스템은 최근 공유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변형 공유창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위텍시스템은 국내 유수의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뿐만 아니라, 박스하우스, 룸플러스, 파크스 등 무인창고 전문 브랜드를 통해 다수의 납품 실적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졌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권 중심의 임대사업자와 협력하여 100여 개 현장에 납품, 실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 중이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자동화 설비 위텍시스템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조 기술을 넘는다. 독일 쿠카로봇 동북아 지사장 출신인 김하학 대표의 리더십 아래, 설계부터 생산, 납품, A/S까지 전 과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는 2배,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