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사회

대전시, 2025년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 개회식 개최

K-방산 미래 신기술 세미나 국제컨퍼런스에 많은 방산 관계자 발길 이어져

 

(포탈뉴스통신) 대전시는 6월 18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2025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 개회식을 개최하며 사흘간의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이번 개회식에는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국방부, 방위사업청, 육군 교육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등 국방 유관기관과 KAIST, 충남대, 정부출연연구기관, 마이크로소프트 등 국내외 방산 기업과 학계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해 대전을 중심으로 한 국방산업 생태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국방산업발전대전은 대전시가 주최하고, 산업부·국방부·방사청이 후원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방기술 융합 전시회로, 총 178개 기업이 참여해 395개 부스를 운영하며,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개막과 함께 열린 프로그램에는 방산 첨단 기술에 대한 국제 세미나와 기업 설명회 등이 이어져 방위산업의 미래와 수출 전략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주요 행사로는 ▲AI 기반 무인기-유인기 복합운영(MUM-T) 기술을 다룬 국제컨퍼런스 ▲민군 융합형 해양·해군 MRO 산업발전 세미나 ▲절충교역 기업설명회 ▲방위산업 수출진흥 컨퍼런스 등이 열려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대전시는 이번 대전을 통해 방산기술의 민간 확산, 글로벌 기술 협력,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등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중점을 두고 행사 기획을 진행했다.

 

행사 둘째 날인 19일에는 대전시가 주관한 ▲국방 3D프린팅 경진대회 시상식과 세미나를 비롯해 ▲육군교육사령부·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참여하는 미래자율모빌리티 항법시스템 발전 국제세미나 ▲드론 및 대드론 전력발전 세미나가 개최된다.

 

또한 대전관광공사와 KOTRA가 공동으로 마련한 ▲글로벌 방산 수출상담회도 동시에 진행돼 국내 중소 방산기업의 해외 진출 교두보 마련에 기여할 예정이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대전이 국방과 민간을 잇는 첨단기술 융합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산·학·연·군 협력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대전에서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방산업발전대전은 6월 20일까지 계속되며, 일반 시민을 위한 전시 관람 및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된다.


[뉴스출처 : 대전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공실 없는 창고 비즈니스, 로봇 자동화 시스템 기술로 공유경제 혁신을 이끄는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답을 찾다! (포탈뉴스통신) 30년 기술력으로 만드는 '공간 자산', 가변형 공유창고 세대창고, 무인창고, 가변형 공유창고까지. 도심 속 유휴공간을 고수익 자산으로 바꾸는 혁신이 시작됐다. 그 중심엔 로봇 자동화의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있다. 로봇 자동 용접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자재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은 위텍시스템은 최근 공유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변형 공유창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위텍시스템은 국내 유수의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뿐만 아니라, 박스하우스, 룸플러스, 파크스 등 무인창고 전문 브랜드를 통해 다수의 납품 실적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졌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권 중심의 임대사업자와 협력하여 100여 개 현장에 납품, 실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 중이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자동화 설비 위텍시스템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조 기술을 넘는다. 독일 쿠카로봇 동북아 지사장 출신인 김하학 대표의 리더십 아래, 설계부터 생산, 납품, A/S까지 전 과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는 2배,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