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이승우 부산시의원, 국가정원 승격을 위한 '좌광천 국가정원 프로젝트'제안

부산 제2호 지방정원 등록된 좌광천, 동부산 생태·관광축으로 확장하여 국가정원으로 승격 제안

 

(포탈뉴스통신)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이승우 의원(국민의힘, 기장군2)은 6월 19일 제32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기장 좌광천을 중심으로 동부산 관광과 의료, 생태자원을 통합한 '좌광천 국가정원 프로젝트'를 공식 제안하며, 국가정원 승격을 위한 조속한 로드맵 수립과 정책적 지원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먼저 “지난 4월 좌광천이 부산시 제2호 지방정원으로 등록됐지만, 현재 규모만으로는 국가정원 요건을 충족하기 어렵다”며, “지금이야말로 좌광천을 임랑해수욕장과 장안사, 장안천까지 확장해 하나의 생태·관광축으로 조성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병산저수지부터 임랑해수욕장, 장안사까지 이어지는 이 생태·문화축을 제대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해운대컨트리클럽 인근을 경유하는 도로 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현재 이 구간의 단절로 관광 자원이 끊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당 도로 개설을 포함한 노선 검토, 환경·교통 타당성 분석을 조속히 연구용역에 반영해 실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이 의원은 “좌광천 인근에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위치해 있으며, 2027년부터 중입자가속기를 통한 암 치료가 본격화될 예정”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항노화·줄기세포 등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과 결합한 의료·웰니스 관광특구로 육성하면 해외 환자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 의료산업 성장이라는 3대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 같은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좌광천–임랑해수욕장–장안사 생태관광축 조성, △해운대컨트리클럽 인근 연결도로 개설을 포함한 연구용역 착수, △의료관광과 바이오산업 연계를 통한 웰니스 거점화”를 포함한 '좌광천 국가정원 프로젝트' 종합 전략 수립을 제안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좌광천 국가정원은 단순한 공원이 아닌, 관광·의료·생태가 융합된 미래형 도시 모델로, 기장을 넘어 부산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며, “부산시와 부산시의회가 함께 즉시 실행에 돌입해 국가정원 승격까지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뉴스출처 : 부산광역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공실 없는 창고 비즈니스, 로봇 자동화 시스템 기술로 공유경제 혁신을 이끄는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답을 찾다! (포탈뉴스통신) 30년 기술력으로 만드는 '공간 자산', 가변형 공유창고 세대창고, 무인창고, 가변형 공유창고까지. 도심 속 유휴공간을 고수익 자산으로 바꾸는 혁신이 시작됐다. 그 중심엔 로봇 자동화의 선두주자 위텍시스템이 있다. 로봇 자동 용접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자재 시장에 혁신을 불어넣은 위텍시스템은 최근 공유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가변형 공유창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고 있다. 위텍시스템은 국내 유수의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뿐만 아니라, 박스하우스, 룸플러스, 파크스 등 무인창고 전문 브랜드를 통해 다수의 납품 실적을 확보하며 입지를 다졌다.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권 중심의 임대사업자와 협력하여 100여 개 현장에 납품, 실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을 선도 중이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자동화 설비 위텍시스템의 경쟁력은 단순한 제조 기술을 넘는다. 독일 쿠카로봇 동북아 지사장 출신인 김하학 대표의 리더십 아래, 설계부터 생산, 납품, A/S까지 전 과정을 로봇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기존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는 2배,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