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대구시, FIX 2025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 운영

국내 지자체 최초 데이터 스페이스 실증 기반 검증

 

(포탈뉴스통신) 대구광역시는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4일간 개최되는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에서 독일 함부르크시와 항공우주센터(DLR), 일본 글로벌 IT 서비스 기업 NTT DATA, 지역 6개 기업과 함께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을 운영한다.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은 2024년부터 국내 지자체 최초로 지역기업과 독일 항공우주 AI Security 연구센터, 함부르크시가 함께 데이터 스페이스 실증기반 검증을 추진한 성과 발표와 함께, 향후 데이터 산업의 유럽·동아시아 시장으로의 확장 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될 예정이다.

 

데이터 스페이스’는 데이터 소유자가 공유 여부와 조건을 완전히 통제할 수 있는 데이터 주권 기반 개념으로, 특정 분야에서 데이터 주권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동 활용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미 유럽에서는 자동차 공급망의 탄소 배출량 데이터 공유를 위한 ‘Catena-X’가, 일본에서는 제조 산업 데이터 공유를 위한 ‘Ouranos-X’가 성공적으로 구축돼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 FIX 2025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은 이러한 국제 흐름에 발맞춰 데이터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데이터 소유 주체인 기업들이 안전하게 데이터를 유통하고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데이터 경제 모델을 선보인다.

 

이는 한국, 독일, 일본 기업들이 데이터 주권을 확보해 글로벌 표준에 맞춘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데이터 산업의 경쟁력을 함께 강화하는 발판이 될 전망이다.

 

한편, 공동관에 참가하는 6개 기업*은 국내 최초 데이터 커넥터 플랫폼, 도로 교통망(인프라) 혼잡도 해결, 제조 AI, 스마트 키오스크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이지스는 ‘3D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의 'VISION-X' 협력 프로젝트 검증 ▲㈜빅웨이브에이아이는 분산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데이터 커넥터 플랫폼’ ▲㈜ABH는 도로 인프라 데이터 스페이스 ‘SafeTrack-X’ ▲㈜비즈데이터는 지능형 수처리 솔루션 ▲한국OSG㈜는 AI 기반 제조 데이터 공유 ▲㈜픽쇼코리아는 스마트 키오스크 솔루션 등 각 기업의 최신 기술을 시연하고 홍보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유럽 탄소 규제(EU CBAM)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공급망 데이터 관리 솔루션, 지역 주력산업의 제조 데이터 스페이스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 사례 등 글로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발제와 워크숍도 진행된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FIX 2025의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은 대구가 글로벌 데이터 비즈니스의 중심도시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 기업들이 글로벌 데이터 산업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민석 총리, 경주에서 APEC 종합 점검회의 주재 및경제인 행사 준비현장 점검 (포탈뉴스통신) 김민석 국무총리(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장)는 10월 17일 경주시청에서 APEC 정상회의 분야별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마을 등 APEC 경제인행사 준비 현장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점검은 APEC 정상회의 개최를 2주가량 앞두고 행사 전반의 준비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진행됐다. 또한, 정상회의와 함께 APEC의 한 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CEO Summit 등 경제인 행사 준비 현장을 점검하고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2차 정부합동 안전점검 결과 ▲정상회의 및 공식만찬 계획 ▲경제인행사 운영 ▲미디어 지원 ▲숙소 ▲교통·수송 ▲응급의료대책 ▲치안·안전 대책 등 각 분야별로 향후 2주간의 계획과 추가적인 점검 및 조치가 필요한 사항을 논의했다. 김 총리는 “큰 틀에서 인프라 조성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으나, 남은 일정이 촉박한 만큼 마무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을 각 관계기관이 크로스 체크하여 철저히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정상회의 등 공식행사뿐 아니라 인프라, 안전, 음식, 동선 등의 모든 분야에서 빈틈없이 준비하여 초격차 APEC을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