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구름조금동두천 7.1℃
  • 맑음강릉 12.1℃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8.6℃
  • 구름많음대구 9.4℃
  • 맑음울산 11.0℃
  • 구름많음광주 7.6℃
  • 맑음부산 10.7℃
  • 흐림고창 7.1℃
  • 흐림제주 13.2℃
  • 구름조금강화 8.7℃
  • 구름조금보은 4.7℃
  • 구름많음금산 5.3℃
  • 구름많음강진군 6.5℃
  • 맑음경주시 10.4℃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사회

생거진천문화재단, 출범 반년 만에 진천 문화정책의 새 길 열다

2025년 5월 설립 후 축제‧지원사업‧현장형 공연 성과 가시화

 

(포탈뉴스통신) 충북 진천군의 생거진천문화재단이 출범 반년 만에 진천군 문화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을 견인하고 있다.

 

재단은 설립과 동시에 축제와 지원사업, 현장형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며 ‘모두가 체감하는 문화도시’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재단은 지난 2023년 12월 설립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충북연구원 타당성 검토와 충청북도 출자·출연기관 운영심의위원회 동의 과정을 밟았다.

 

이어 지역 문화예술인·주민·전문가가 참여한 공청회, ‘생거진천 문화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제정, 위원회 구성을 마치고 2025년 5월 충북도의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를 받아 14년 숙원의 결실로 공식 출범했다.

 

출범과 동시에 재단은 기획력과 실행력을 강화했다.

 

지난 8월 직원 공개채용으로 대표이사를 포함한 11명의 직원을 갖춘 뒤 제46회 생거진천문화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 역대 최다인 27만여 명의 방문객을 유치했다.

 

특히 ‘군민 어울림 퍼레이드’, ‘키즈존 놀이공간’, ‘장애인 한마당’, ‘노인 건강 체육대회’ 등 맞춤형 프로그램은 전 세대의 뜨거운 호응을 끌어냈다.

 

또한 7월부터는 ‘2025년 진천군 문화예술단체 지원사업’을 추진해 관내 10개 단체를 선정, 음악회·전시·공연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을 확산시켰다.

 

11월에는 읍·면 등 비도심 지역을 대상으로 한 첫 ‘찾아가는 공연’인 ‘진천 예술로드 – 예술과 걷는 가을길’을 시작해 이동식 무대 트럭을 활용한 맞춤형 음악회를 선보였다.

 

학생·주부·노년층 등 계층별 기획으로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으며, 향후 문화예술회관 운영과 거점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재단은 내년 문화예술회관 개관에 맞춰 △명품 공연·전시 유치 △문화예술 생태계 강화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 △소외지역 현장형 프로그램 확대 등 다채로운 사업을 준비할 방침이다.

 

박충서 대표이사는 “임기 내 가장 큰 목표는 진천군을 글로벌 문화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이라며 “문화예술회관 개관과 특화 축제, 지역 협력사업을 통해 군민이 삶 속에서 문화를 체감하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충청북도 진천군]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한-UAE 100년 동행…더 높은 단계로 새롭게 도약할 것" (포탈뉴스통신)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수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한-UAE 정상 확대회담 모두발언을 통해 "UAE는 중동·아프리카 국가 중 우리나라와 유일하게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라며 "양국 간 협력은 바라카 원전 사업, 아크 부대라는 것으로 명확하게 특정지어진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UAE 간의 협력 관계가 정말로 더 넓게, 더 깊게, 더 특별해지길 바란다"면서 "확고한 신뢰와 상호 존중 그리고 형제의 정신을 기반으로 앞으로 어떤 외교의 상황 변화가 있더라도 결코 흔들리지 않는, 후퇴하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고 했다. 특히 "지금껏 쌓아온 특별한 우정을 기반으로 양국 간 관계가 한차원 더 높은 단계로 새롭게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의 선친인 고(故) 자이드 UAE 초대 대통령을 언급하며 "(UAE는) 세계 6대 산유국인데도 불구하고 자원이 아닌 기술, 민간 개발을 통해 경이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