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탈뉴스통신)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태길 의원(국민의힘, 하남1)은 2026년 복지국 예산 심사를 준비하며, “김동연 지사의 사회복지 예산 2,240억 원 삭감은 현장의 어려움을 외면한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사회복지종사자 ‘웰빙보조비’ 신설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윤 의원은 “도내 사회복지시설은 인력난과 높은 업무강도, 낮은 처우로 이미 한계에 도달해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복지 예산을 2,240억 원이나 줄였다는 것은 현장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결정이며, 그 부담은 고스란히 종사자에게 떠넘기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민의 복지는 결국 종사자의 손에서 이루어지는데, 지금처럼 인력을 소모품처럼 취급하는 정책으로는 서비스의 질을 지킬 수 없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사회복지종사자 ‘웰빙보조비’ 신설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사회복지종사자는 휴일·야간·돌발 상황 대응 등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며 감정노동이 만성적으로 누적되고 있다”며 “웰빙보조비는 단순한 수당이 아니라 소진 예방·이직 방지·현장 안정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초임 사회복지사가 1~2년을 버티지 못하고 떠나는 현실에서 최소한의 처우 개선 없이 복지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은 기대할 수 없다”며 “올해 예산 심의에서는 반드시 웰빙보조비를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끝으로 “도민의 복지를 지키는 핵심은 건물이나 총사업비가 아니라 현장에서 뛰는 사람들”이라며 “보건복지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서 웰빙보조비 신설과 사회복지 인력 처우 개선을 반드시 실현해 도민 복지의 기반을 바로 세우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기도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