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일상의 평화가 그리워지는 연말 인천시립합창단의 따스한 송년음악회

12월 23일 인천시립합창단 '2021 송년음악회'

 

(포탈뉴스) 일상의 평화가 그리워지는 연말, 인천시립합창단이 따뜻한 크리스마스 명곡들과 캐럴로 세상을 환히 밝힌다.


인천광역시는 12월 23일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2021 송년음악회'가 시민들을 찾아온다고 밝혔다.


1부에서는 20세기 초 프랑스와 영국을 대표하는 작곡가들의 크리스마스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프랑스의 대표 작곡가 프랑시스 뿔랑이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적 미술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네 곡의 크리스마스 모테트(Quatre Motets pour le temps de Noël), 영국의 대표 합창작곡가 에드워드 엘가가 여성합창과 바이올린 그리고 피아노를 위하여 작곡한 “A Christmas Greeting, Op.52” 등을 연주하며 크리스마스 이브의 신비로운 분위기와 사랑의 메시지를 서정적이면서도 힘 있게 그려낸다.


그 외에도 동방박사 세 사람의 이야기를 남성 합창과 오보에 그리고 타악기와 함께 풍성하게 펼쳐내는 “We Three Kings”을 관객에게 소개한다.


2부에서는 “높은 곳에서 천사들의 노래가 들립니다”, “딩동 높은 곳에서 즐겁게”, “겨울 나라”, “루돌프 사슴코” 등 다양한 스타일로 편곡한 친근한 캐럴들과 인천시립합창단의 상임작곡가 조혜영이 편곡한 “온 땅에 평화가 있으라”를 노래하며 길었던 어려운 시기를 지나 이 땅에 진정한 평화가 임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전한다.


김종현 예술감독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희망을 품고 이번 송년음악회를 준비했다. 따스한 크리스마스 명곡들과 함께 시름을 잊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공연 준비 소감을 말했다.


인천시립합창단의 제174회 정기연주회 '2021 송년음악회'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개편에 따른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 및 PCR 검사 결과 음성 확인(방역패스)’가 의무 적용 된다.


방역패스에 대한 안내사항은 문화예술회관 홈페이지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장 시 출입 확인 및 발열체크, 공연장 내 상시 마스크 착용 등 방역을 강화해 공연장을 찾은 관객과 스텝의 안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인천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선출 권력에 의해 국민 주권 발현…국회 존중하길"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회는 국민으로부터 직접 권력을 위임받은 기관으로, 우리 국무위원들이 국회에 가면 그 직접 선출된 권력에 대해 존중감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와의 관계에서 지금 약간 오해가 좀 있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주권 국가이고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라며 "직접 선출된 권력에 의해 국민주권이 발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선출 권력은 대통령, 국회의원, 자치단체장, 기초광역의원 등으로 구성된다"면서 "아무리 우리가 외형적으로 높은 자리, 높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임명된 권력은 선출 권력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도 헌법의 국가기관 순위가 써져 있다"며 "개인적으로 좋든 나쁘든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국가의 기본적 질서에 관한 문제니까 최대한 국회를 존중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혹서기와 장마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이 대통령 "지금 장마가 계속 중이고 앞으로 강우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 지금까지는 비 피해가 크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