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금리가 오르면 집값이 떨어질까?


저번 주에 글을 다 써놓고 자료를 좀 더 보강하기위해 찾다가

제가 잘못 생각했던게 있어서 좀 더 공부하고 글을 씁니다.

그냥 땅이나 보고, 투자처만 찾을 때가 좋았는데, 한 단계 더 크게 보려니까 어렵네요.

 

일반적으로 고금리시대에는 집값이 내려가고, 저금리시대에는 집값이 올라간다고 말합니다.

저도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금리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이 작더라고요.

 

먼저 그래프 보겠습니다.

한국은행에 나온 기준금리 표에, 집값 상승과 하락 시기를 표시했습니다.

    

그래프만 봤을 때는 어떤 상관관계가 없어 보입니다.

2008년 집값하락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문에 생긴 변수라고 하기엔, 2004~2008년은 집값과 금리가 같이 상승했습니다. 이 그래프 때문에 써놨던 글을 전면 수정했고, 포스팅까지 일주일이 걸렸습니다.

 

책을 찾다보니 <오르는 부동산의 법칙_조현철 지음>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금리가 내리면 집값이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집값이 내린다.”

이 이야기는 미국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합니다. 미국은 20%의 계약금으로 집은 산 후 80%의 잔금은 살면서 상환합니다. 그래서 ‘집을 살 때 ”매월 얼마를 갚아야 하는가?‘ 를 따져보는데,

우리나라는 주택을 살 때, 집값의 등락을 먼저 판단하고, 대출도 미국보다 작은 비중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이 집을 얼마에 살 수 있는가? 를 따진다고 합니다.

그것이 미국만큼 금리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의심이 많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와 주택가격을 조사해봤습니다.


금리는 오르락내리락 했지만, 주택가격은 꾸준히 올랐네요.

크게 관계가 없어 보입니다.

 

‘주택은 높은 비율로 대출이 껴있기 때문에 금리에 민감할 것이다’

이런 전제는 우리의 고정관념인 것 같습니다.

 

집값을 결정하는 요소는 어떤 한가지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금리보다 중요한건 주택 공급량과 투자 기대감이 집값 상승률에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민석 총리, 경주에서 APEC 종합 점검회의 주재 및경제인 행사 준비현장 점검 (포탈뉴스통신) 김민석 국무총리(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위원장)는 10월 17일 경주시청에서 APEC 정상회의 분야별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경주 예술의전당, 화랑마을 등 APEC 경제인행사 준비 현장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점검은 APEC 정상회의 개최를 2주가량 앞두고 행사 전반의 준비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진행됐다. 또한, 정상회의와 함께 APEC의 한 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CEO Summit 등 경제인 행사 준비 현장을 점검하고 지원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2차 정부합동 안전점검 결과 ▲정상회의 및 공식만찬 계획 ▲경제인행사 운영 ▲미디어 지원 ▲숙소 ▲교통·수송 ▲응급의료대책 ▲치안·안전 대책 등 각 분야별로 향후 2주간의 계획과 추가적인 점검 및 조치가 필요한 사항을 논의했다. 김 총리는 “큰 틀에서 인프라 조성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으나, 남은 일정이 촉박한 만큼 마무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을 각 관계기관이 크로스 체크하여 철저히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정상회의 등 공식행사뿐 아니라 인프라, 안전, 음식, 동선 등의 모든 분야에서 빈틈없이 준비하여 초격차 APEC을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