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딸기 농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모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딸기 모주 정식 초기부터 병해충 예방과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딸기 육묘는 준비부터 묘 증식까지 약 10개월이 소요되는 긴 과정으로, 이 시기의 관리가 딸기 농사의 90%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모주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고품질 우량묘 생산의 출발점이다.
지난해는 긴 장마와 역대급 폭염이 이어지면서 딸기 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줬다. 장마가 평년보다 길고 강수량도 32.5%나 많았으며, 8월 평균기온이 27.9℃에 달해 시들음병과 탄저병 등 토양전염병이 확산하는 원인이 됐다.
실제로 많은 농가에서 병해로 어려움을 겪었고, 올해도 동일한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해 시들음병이 발생한 농가의 경우, 같은 토양(상토)을 재사용하면 병이 재발할 우려가 80%에 이르는 만큼,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농업기술원은 다음과 같은 초기 관리를 권장하고 있다. 우선 상토는 반드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시들음병과 역병 같은 토양전염성 병해는 주로 상토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기존 토양(상토)을 그대로 사용하면 병이 다시 퍼질 가능성이 높다.
모주를 심는 베드와 육묘 트레이 등 자재는 사용 전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모주는 스포르곤과 응애약을 60% 농도로 혼합해 만든 용액에 30분간 침지 소독하면 효과적이다.
모주를 심는 당일에는 뿌리과 줄기에 상처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시들음병과 탄저병 약제를 관주해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배지는 정식 전에 충분히 관수하여 뿌리가 마르는 것을 막아야 하지만, 정식 후에는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과도한 습도는 탄저병 등 병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모주가 활찰하는 시기에는 양액의 EC를 0.8~1.2정도로 관리하고, 일사량에 따라 하루 1~5회, 1주당 50~300ml 정도로 양액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약한 런너와 곁런너를 제거하고, 충실한 새순 1개만 남겨 관리하면 우량묘 생산에 도움이 된다.
박은지 연구사는 “지난해 고온기의 고온다습한 날씨로 인해 시들음병 등 토양전염성병 발생 증가로 많은 피해가 있었다”라며, “딸기 육묘는 시작이 가장 중요하므로, 모주정식부터 병해충을 철저히 예방하고 관리하면 고품질의 우량묘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