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7.8℃
  • 구름조금대전 8.9℃
  • 맑음대구 7.5℃
  • 맑음울산 6.2℃
  • 맑음광주 8.5℃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7.4℃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6.8℃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사회

미 상호관세에 경남도 민생경제안정본부 총력 대응

3일, 경남도 경제부지사 긴급 경제・산업회의, 민생경제 최우선

 

(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는 미국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3일 경제부지사 주재로 긴급 경제・산업회의를 개최하고 민생경제 안정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대응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최소 10% 이상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에는 총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내 수입품 가격이 올라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고, 발표한 관세 수입을 거두기 어려워지면 미국 경제가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경남도에 따르면 2025년 1~2월 경남의 누적 수출액은 6,942백만달러로 무역수지는 30억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미국 수출액은 경남 수출액의 23%인 1,623백만달러를 차지하고 있는 데 지난 해 같은 시기 대비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수출하는 도내 기업은 1,500여개로 대미 주력 수출상품인 자동차는 18.1% 증가했고 가전과 자동차 부품은 28.5%와 11.8%가 각각 감소했다.

 

또한, 수출 감소 외에도 우리나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이 수입하는 제품의 가격이 오르면 미국 내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미국 정부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고금리 정책을 유지할 수 밖에 없어 달러화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져 대미 환율이 상승해 ‘고환율→고물가→고금리 악순환’으로 민생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경남도는 3일 긴급회의에서 대미 수출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100억원을 신설해 미국에 직・간접 수출실적을 보유한 기업당 최대 5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수출기업 당 200만원의 물류비 지원과 수출보험 8종, 수출보증 6종, 수입보험 2종에 가입할 수 있는 수출보험료를 확대 지원방안도 고려 중이다.

 

오는 9일에는 한국은행경남본부, 한국무역보험공사, 코트라경남본부 등 유관기관과 상호관세 영향을 받는 기업과 전략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상호관세・수입규제・현지 진출・법률 컨설팅을 지원하고, 수출입 시 외화 지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차손익을 제거할 수 있는 환변동보험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점검한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지난해 12월부터 불확실성이 지속돼 왔지만 경남도는 민생경제 안정 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탄력적인 대책을 준비해 왔다”며 “앞으로도 지역경제 회복과 민생경제 안정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고, 정부 대책이 발표되면 도내 대미 수출기업이 최대한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상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국내외 정치적 불안정 속에 소비 위축을 방지하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경제통상국장을 중심으로 ‘경상남도 민생경제 안정 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고, 수출대응・민생안정 등 총 6개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난해 12월부터 민간소비 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진행중이며, 예비비 81억 원을 긴급 투입해 경남사랑상품권 300억 원 발행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자금 지원을 위해 긴급 자금 900억 원과 1,240억 원 등 총 2,140억 원의 긴급 경영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