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일반적인 고구마 수확시기보다 이른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에 햇고구마를 출하하기 위한 조기재배 요령을 소개했다.
고구마 조기재배의 정식 시기는 보통 4월 상·중순경으로, 늦서리와 땅속 온도를 고려해 결정한다.
경남 지역에서는 봄철 늦서리가 4월 초 남부 해안에서 시작해 5월 초 지리산 지역에서 끝난다. 또한, 고구마 묘가 뿌리를 내리려면 땅속 온도가 15℃ 이상이어야 하지만, 4월 상순 경남 지역의 땅속 온도는 대부분 13℃ 이하로 낮아 뿌리 내림이 어렵다.
따라서 비닐 피복을 통해 땅속 온도를 높이고 서리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밭 정식 과정은 보통기 재배와 동일하게 표준 거름주기 후, 고구마 전용 토양 살충제를 뿌리고 경운한 뒤 두둑 성형기로 이랑을 만든다.
심을 때는 7~9마디 정도의 튼튼하고 병이 없는 고구마 묘를 수평으로 눕혀 두둑 위쪽 3~5cm 깊이에 20~25cm 간격으로 심되, 묘의 머리 부분 2~3마디는 묻히지 않도록 한다.
정식 후에는 트랙터나 관리기 부착용 비닐 피복기로 비닐을 덮고, 두둑 위로 흙을 덮으면 보온 효과가 있으며, 한낮의 고온 피해도 예방할 수 있다.
묘를 심고 약 2주 후 뿌리가 내리면, 묘를 비닐 밖으로 꺼내 초기 생육을 촉진해야 한다. 너무 늦게 꺼내면 한낮의 고온 피해를 받을 수 있고, 일찍 꺼내면 늦서리 피해가 우려되므로 지역별 서리 종료 시기를 고려해 묘를 꺼내도록 한다.
햇고구마 수확을 위한 조기재배는 품종 선택도 중요하다. 특히 분질(밤)고구마 품종이 적합하며, 이 품종은 점질(호박)고구마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덩이뿌리가 잘 형성되고 빠르게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분질고구마 주요 품종으로는 조기 및 보통기에 두루 적합한 ‘진율미’와 최근 경남에서 조기재배용으로 육성한 ‘진다미’가 있다.
8월에 수확된 조기재배 고구마는 간식이나 식사 대용뿐 아니라 휴가철 캠핑장에서 구이용으로 인기가 높다. 또한 출하시기를 분산해 홍수 출하를 방지하고 가격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종태 작물연구과 전작담당은 “최근 기상이변으로 늦서리 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조기재배에 어려움이 있으나, 지속적인 농가 현장 기술 지원으로 수확량 안정화를 돕겠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