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는 『경상남도 통합돌봄협의체』를 출범시키고, 민선 8기 후반기 도정의 핵심 가치인 ‘복지·동행·희망’을 실현하기 위한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10일 10시 30분 경남연구원 가야대회의실에서 협의체 위원 위촉식 및 제1차 회의를 열고, 부서‧기관 간 칸막이를 허물고 정보와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협력 기반으로 『경상남도 통합돌봄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번 협의체는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공공 돌봄 체계인 ‘경남형 통합돌봄’의 추진체계 구축을 실현하기 위한 민‧관‧연‧학 협력 기구이다.
협의체는 당연직 9명과 위촉직 15명 등 총 24명의 위원으로 이루어졌다. 위원으로는 복지, 보건, 의료, 노인, 장애인 등 분야별 전문가, 학계·연구원, 현장돌봄전문가, 도 및 시군 공무원 등이 참여했다.
이번 회의에는 박명균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한 협의체 위원 24명이 참석했으며, 위촉장 전달, 위원장 및 부위원장 선출과 함께, 경남도가 추진하는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계획’에 대한 보고와 의견수렴 순으로 진행됐다.
‘경남형 통합돌봄’은 기존의 분절된 복지서비스를 통합‧연계하여,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서비스(일상생활돌봄, 건강관리, 보건의료, 요양 등)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특히, 광역지자체 최초로 생성형 AI 기반의 통합복지플랫폼을 개발‧운영하여, 사회서비스 정보 접근성 향상과 선제적 위기가구 발굴, 통합돌봄 설계, 제도개선 건의 등의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이번 협의체를 중심으로 ▲정책 자문과 방향 설정 ▲공공‧민간 서비스 연계 ▲현장 기반 실행방안 도출 등 기능을 통해 도-시군-읍면동으로 연결되는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으로 이번 회의에서 제시된 의견을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계획’에 반영하여 시군에 시달하고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경남형 통합돌봄은 단순한 복지 제공을 넘어, 통합적이고 선제적인 돌봄 전달체계를 통해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며, “협의체 위원님들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정책이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모아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매년 2회 이상 협의체를 정기 운영하고, 필요시 수시회의를 통해 돌봄 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시군 및 읍면동 통합돌봄창구 운영, 교육‧컨설팅, 통합복지플랫폼 단계적 확대 등을 통해 경남형 통합돌봄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