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대구자경위, 우리동네 '이야기 듣기' 캅-패트롤 개최

9월 2일(화) 수성구 두산동서 첫 주민 경청 토크콘서트 개최

 

(포탈뉴스통신) 그동안 자치경찰제도는 국가경찰 중심의 일률적 운영, 지역특성 반영 부족, 주민 참여와 인지 저조 등 다양한 한계에 직면해 왔다.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치안행정 실현을 목표로, 주민과 직접 소통을 통해 실질적 변화를 모색하는 새로운 활동을 시작했다.

 

이런 취지에서 9월 2일 수성구 두산동에서는 ‘우리동네 이야기 듣기, 캅-패트롤’ 행사가 열렸다.

 

이날 토크콘서트는 지역주민이 직접 사회를 맡아 더욱 자유롭고 생생한 현장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참석 주민들은 ‘(솔직한 치안) 이야기 듣기’와 ‘자치경찰(COP)이 동네를 꼼꼼하게 살핀다(PATROL)’는 ‘캅-패트롤’의 취지대로, 교통 불편, 치안 사각지대, 순찰 확대, 학교 주변 청소년 비행, 방범시설 부족 등 현실적인 문제를 솔직하게 제기했다.

 

특히 최근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피해와 예방 대책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와 국가수사본부에서 제작한 사례별 보이스피싱 예방홍보 영상 시청이 이뤄졌고, 주민들은 사례와 수법, 피싱 메시지 대응방법 등 실생활 속 예방 방안을 적극적으로 공유했다.

 

자치경찰위원회는 토크콘서트에서 제안된 다양한 치안문제에 대해 구체적 대응책을 밝히며 “주민 제안이 곧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답했다.

 

이번 ‘캅-패트롤’은 단순 소통을 넘어 자치경찰이 지역 치안정책의 방향성과 실천 목표를 지역과 함께 구체화하는 자리로 평가된다.

 

자치경찰위원회는 ▲주민 참여·수요 중심 순찰, ▲생활 맞춤형 교통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첨단기술 기반 치안 강화 등 시민 일상보호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고, 드론·스마트앱 순찰, 맞춤형 예방활동, 청년·어르신 범죄예방 프로그램 확대 등 혁신 치안 서비스도 이어나갈 계획이다.

 

특히 위원회 2기 동안 교통불편과 생활안전 주민민원이 많은 곳을 최우선으로 ‘캅-패트롤’순회를 추진해 주민 누구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참여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이중구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자치경찰은 시민 삶 깊은 곳까지 다가가야 하며, 앞으로도 주민 목소리에 귀 기울여 체감할 수 있는 안전을 실현하겠다”며, “대구 맞춤형 치안시스템을 확립해 지역이 주도하는 치안정책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재명 정부, 국가간병책임제를 중심으로 복지와 돌봄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도록 경기도가 앞장” (포탈뉴스통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정부가 국가간병책임제를 중심으로 복지와 돌봄에 있어서 확실한 한 획을 긋고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도록 경기도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2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국가간병책임제의 실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박주민 의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11명과 공동으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김동연 지사는 토론회에 앞서 광역 지자체 최초로 시행 중인 경기도의 ‘간병 SOS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3월에 첫 수혜자분을 수원의 한 요양병원에서 만났는데 48년 전에 수술을 받다 시신경을 잘못 건드려 실명을 하셨다고 한다. 실명한 상황에서도 침술과 지압을 배우면서 버텨오셨는데, 병이 재발해 끝없는 와병 생활이 이어졌다고 한다. 간병 중인 아내분께서 저를 붙잡고 우시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다. 가족 한 분이 편찮을 때 일상이 중단되고 벼랑 끝에 몰림을 목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간병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이다. 간병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 책임, 국가의 책무로 해야되겠다는 생각을 여러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