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29.3℃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27.8℃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7.3℃
  • 구름많음광주 28.4℃
  • 구름많음부산 26.3℃
  • 구름조금고창 28.3℃
  • 흐림제주 25.0℃
  • 맑음강화 27.4℃
  • 구름조금보은 27.2℃
  • 구름조금금산 27.5℃
  • 구름많음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9.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대구시교육청, 지자체와 함께하는 교육발전특구 실행 계획 발표

대구형 공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정주여건 조성을 위해 6개 분야 30개 과제 및 5개 특례 제안 사항 담아

 

(포탈뉴스) 대구시교육청은 대구광역시 및 9개 구·군과 함께 대구형 공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정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지역늘봄 및 영유아 교육지원’, ‘국제인증교육과정(IB)특구 운영’, ‘대구형 자공고2.0 및 협약형 특성화고 운영’등 6개 분야, 30개 세부과제와 5개의 특례 제안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구권역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1. 지역늘봄 및 영유아 교육 지원

 

국가 책임교육을 실현하고 양질의 교육․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는 지역늘봄 및 유보통합에 맞춰 영유아 교육을 함께 추진한다.

 

늘봄서비스의 다양한 모델로는 ▲경로당,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늘봄마을, ▲지역 도서관 어린이 자료실, 강의실 등을 활용한 늘봄도서관, ▲한국어교육 특화 중점 다문화 학생 대상 늘봄, ▲순수과학 인재 육성을 위한 진로 트랙형 늘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소외계층 특화형 늘봄, ▲유보통합 시범모델 운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보통합 지원 전문기관 운영을 위해 현 유아교육진흥원의 기능을 확대하여 ▲영유아교육진흥원을 설립하고, 폐교(구, 교동중) 후적지를 활용하여 ▲ 영유아교육진흥원 분원을 설립하는 등 인프라 확대를 통해 유보통합의 성공적 안착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2. 국제인증교육과정(IB) 특구 운영

 

대구시교육청은 공교육 최초로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공교육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교육발전특구 사업으로 IB 운영 학교의 고도화와 지역 교육 경쟁력 확보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미래사회 핵심 역량 강화를 강조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교육국제화 특구 연계를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및 IB 2.0 추진을 위한 교육과정 자율화, ▲초중고 입학 시 학생 선택권 확대, ▲교직원 추가 배치, 자격 확대 등을 포함한 교원정책 다각화, ▲국제인증교육과정 이수자에 대한 대입 특별전형 도입, ▲국제수준의 미래학교 설계 및 운영 등이 있으며 다양한 특례와 규제 완화를 통해 미래 시대 지역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인프라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고자 한다.

 

3. 대구형 자율형공립고 2.0 지정 운영

 

올해 총 5개교를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했으며 2026년 8개교까지 확대하여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학생들 개별 맞춤형 교육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특색을 반영한 혁신도시 연계형 자공고, ▲지역대학과 함께 개별 맞춤형 진로진학 설계 및 프로그램 중점 지역대학 연계형 자공고, ▲대학,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과학기술 특화 중점의 연구기관 연계형 자공고, ▲농촌지역 및 기숙형고 특색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자체(군위군) 협약형 자공고 등 4가지 모델을 추진한다.

 

4. 대구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대구 지역은 수성알파시티, 테크노폴리스, 국가산업단지 등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으며, 이러한 지역 여건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과 재구조화를 통해 지역정주 현장 실무 인력을 양성한다.

 

이를 위해 ▲ABB산업 특화형 특성화고, ▲로봇, 모빌리티 산업 특화형, ▲스마트팩토리 산업 특화형, ▲팻밀리산업 특화형, ▲보건의료관광 산업 특화형, ▲휴머니멀 보건의료 산업 특화형, ▲디지털 융합 경영 특화형 등 총 7개 유형으로 협약형 특성화고를 추진할 예정이다.

 

5. 디지털 교육혁신 추진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 등 다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문해 역량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이에, 우리 대구에서는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인공지능,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다양화, ▲인공지능 융합 교육 및 체험을 확대하기 위한 인공지능 교육센터 구축 운영하고 현직 및 예비 교원들의 인공지능․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경북대와 협력해서 인공지능․디지털 융합교육 정책연구 및 플랫폼을 구축 운영할 예정이다.

 

6. 중등·고등교육 연계를 통한 지역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대구시는 RISE사업과 교육발전특구를 포함한 4대 특구를 연계하여 지역인재 유출은 방지하고 해외 인재는 유치하는 인구 부양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3월 전국 최초 대학정책국 신설로 지역 대학 경쟁력 확보했으며, ▲인력 양성과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경북대 공유 캠퍼스 조성, ▲지역 5대 미래지역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지역인재 입학비율을 80%까지 점진적 확대, ▲첨단산업 기술산업 기반의 특성화 대학 지역인재 육성, ▲유학생 정착 환경 조성 및 진로․취업 연계, 비자제도 개선 등을 통한 해외 인재 유치 등 고등교육 분야 혁신을 통해 지방 정부의 경쟁력을 키운다.

 

7. 교육발전특구내 특례 제안

 

대구에서는 6대 과제 이외에도 우수 인재 양성 및 정주 여건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으로 교육발전특구특별법 제정 조항 등 5개의 특례를 제안했다.

 

먼저, 국제인증교육과정(IB) 특구 운영을 위한 특별법 제정(안)으로 ▲국제인증교육과정 운영 특례, ▲초․중등 교원 정원의 1% 이내에서 교육감 권한으로 ‘지역자율교원제’를 통한 교원 수급 정책 다각화를 제안했으며, ▲초등학교 학생들의 통학구역 유연화, ▲IB과정 이수자의 대입 특별전형 도입 등을 담고 있다.

 

또한 자율형 공립고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원 인사 채용 및 예산 사용의 자율성 확대, ▲외국인 유학생 중 특성화고 학생에 대한 사증 발급, ▲대학설립 기준 면적 완화,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 제도 개선 등을 특례 제안에 포함했다.

 

이번 교육발전특구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투자계획은 올해 기반 구축 및 도입기를 거쳐 시범운영 3년 동안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매년 특교 지원금 200억 원과 자체 1:1 대응투자를 합쳐서 약 400억 원 규모로 사업을 운영한다.

 

강은희 교육감은 “이번 대구 교육발전특구 실행계획은 지자체와 협력하여 대구교육의 미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대구시교육청과 대구광역시, 9개 구군, 대학, 기업, 공공기관들이 힘을 모아 교육의 힘으로 지역 정주 여건을 조성하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교육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