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조금동두천 9.3℃
  • 맑음강릉 15.1℃
  • 맑음서울 12.3℃
  • 박무대전 11.7℃
  • 맑음대구 13.9℃
  • 흐림울산 12.5℃
  • 맑음광주 14.0℃
  • 흐림부산 13.0℃
  • 맑음고창 14.2℃
  • 흐림제주 16.7℃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9.6℃
  • 흐림금산 11.8℃
  • 맑음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4.1℃
기상청 제공

생활상식

맞벌이·육아휴직…육아가정 모두에 힘이 되도록

2025년 달라지는 정책 ②

 

(포탈뉴스통신) 육아휴직 급여 인상

· 육아휴직 급여: 월 최대 150만 원 → 250만 원

· 사후지급 방식 폐지: 휴직 중 75%, 복직 후 25% 지급→ 휴직 중 100% 지급

· 부모 모두 육아휴직하면 첫 달 200만 원 → 250만 원

·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하면 첫 3개월 250만 원 → 300만 원

 

 

육아휴직 기간 확대

· 최대 1년 → 최대 1년 6개월

 *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하거나 한부모 또는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일 경우

 

한부모 가족 지원 확대

·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

 - 자녀 1인당: 월 21만 원 → 월 23만 원

 - 24세 이하 청소년 한부모: 월 35만 원 → 월 37만 원

 - 학용품비 지원 대상: 중·고등학생 → 초·중·고등학생

 

·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2025년 7월 시행)

 - 양육비를 못 받고 있는 한부모가족에게 국가가 양육비 우선 지급

 * 비양육자에게 회수 예정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의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만 18세까지 지원

 

늘봄학교 대상 및 서비스 확대 (2025년 3월 시행)

· 대상: 2024년 초등학교 1학년 → 2025년 : 초등학교 1~2학년

 

· 추진배경: 교육기회 보장을 통한 교육격차 해소 및 사교육비 경감 등 자녀 양육 부담 완화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외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학생의 성장·발달을 위한 종합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다자녀 가구 혜택 확대

 

[K-패스 환급 비율]

· 2자녀 이상: 적립률 30%, 600원(2000원 기준 환급금)

· 3자녀 이상: 적립률 50%, 1000원(2000원 기준 환급금)

 

다자녀 가구 이용자는 K-패스 앱· 누리집에서

“My 메뉴→다자녀 정보”에서 인증한 뒤 환급률 상향 신청 가능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출한 대중교통비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K-패스’의 다자녀 가구 혜택이 신설됐습니다.

 

이 카드뉴스는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25.12.31.)를 기반으로 제작했습니다. 마이크로 페이지 '2025 이렇게 달라집니다' 를 통해 새해 달라지는 정책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뉴스출처 : 정책브리핑]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포탈뉴스통신)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