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3 (목)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2℃
  • 맑음서울 -3.5℃
  • 맑음대전 -1.8℃
  • 맑음대구 0.5℃
  • 맑음울산 1.8℃
  • 구름많음광주 1.4℃
  • 맑음부산 2.7℃
  • 흐림고창 0.5℃
  • 흐림제주 4.9℃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1.6℃
  • 흐림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1.1℃
  • 맑음거제 2.6℃
기상청 제공

세종시의회 박란희 의원, 가람동 악취 원인‘폐기물 연료화 시설’중단 기여

지난해 박 의원의 문제제기와 함께 시의 적극적인 의지로 시민 불편 해소

 

(포탈뉴스통신) 세종특별자치시의회 박란희 의원(다정동, 더불어민주당)이 2024년 3월 문제를 제기한 세종시 가람동 폐기물 연료화 시설 발언이 주목을 받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 7일 세종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가람동 폐기물연료화시설의 악취문제 해결로 고형연료 생산 중단 및 시설 폐쇄를 결정헤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작년 3월 세종시의회 제88회 임시회 산업건설위원회에서 박란희 의원의 발언을 시작으로 논의가 활발해졌다. 이날 박 의원은 세종시 폐기물 연료화 시설의 고형연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비효율성 문제를 지적하며, 고형연료 생산 중단과 대체가능한 효율적인 처리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박 의원은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과 예산낭비 해결을 위해 재계약에 대한 업체와의 협의, 연구용역 비용의 마련 등 폐쇄 조치에 대한 실질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추진할 것을 함께 주문했다.

 

이에 세종시는 같은 해 7월 ‘폐기물연료화시설 운영비용 산정’ 용역을 통해 시설의 처리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고, 내부 검토를 통해 고형연료 생산 중단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른 예산절감액을 연간 약 20억 원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박란희 의원은 “고형연료 생산이 중단됨에 따라 악취 문제로 인한 오랜 주민 불편을 해소하고 주변 환경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며, “향후 철저한 사후 관리를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 환경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의회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반영이 시민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결실로 거듭나 더욱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쾌적한 환경 정책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제안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가람동 폐기물연료화시설은 지난 2012년 일일 130톤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로 가동을 시작한 바 있으나, 바람이 불거나 기압이 낮을 경우 악취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이로써 해당 시설은 약 13년의 가동을 멈추고 향후 시설 활용 방안에 대한 과제를 남겼다.

 

한편 세종시는 크린넷 관리 문제 및 친환경타운 조성 등 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과제들이 산적한 상황으로, 앞으로도 환경기초시설 개선과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효율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뉴스출처 : 세종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찾아 “반도체는 미래먹거리의 중추. 최선 다해 지원할 것” (포탈뉴스통신)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에도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국내 반도체산업계의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2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찾아 총력 지원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평택시 고덕동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김용관 삼성전자 경영전략담당 사장, 남석우 파운드리 사장, 박승희 대외협력담당 사장, 정장선 평택시장, 김상곤 도의원,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 등과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 지사는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위해 힘을 실어드리러 왔다”며 “지난 11월에는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 업체들에 방문을 해서 에이에스엠과 에이에스엠엘 최고 경영자들과 세계 반도체 산업의 미래와 한국의 여러 가지 산업정책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반도체특별법에 대해서도 비상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번 제가 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추경 편성을 처음으로 주장했고 그 속에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뿐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먹거리에 대한 지원, 산업정책의 전환을 얘기했다”며 “투자나 R&D에 대한 정부의 직접 지원이나 세제 지원 등 많은 나라들이 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한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