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탈뉴스통신) 서울시는 AI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와 건전한 데이터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는 가운데, 오는 5월 28일 정보소통·교류의 장인 제6회 '서울시 개인정보보호 포럼'을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다.
서울시는 매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PIS FAIR 조직위원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개인정보보호 행사인'개인정보보호 페어(PIS FAIR)&CPO 워크숍'과 연계해, 서울시 개인정보보호 포럼을 함께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 및 관계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담당자 등 약 4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투명한 AI, 안전한 개인정보’를 주제로 인공지능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한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 강연이 진행된다.
포럼은 각 기관의 개인정보취급자 등 실무 담당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개인정보 보호 대책과 안전한 활용 방안을 공유하는 강연으로 시작된다.
김진환 변호사(웨일앤썬 법률사무소)는 '개인정보 업무 담당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개인정보보호법 개요 및 각종 유의사항'을 주제로, 개인정보보호법의 핵심 내용을 정보의 생애주기별로 실제 사례와 해석례를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권헌영 교수(고려대학교)는 '인공지능과 개인정보처리의 주요 쟁점 및 대응 방안'강연에서 학습용 데이터와 관련된 개인정보 처리 쟁점, AI 프로파일링, 시스템 침해 및 오남용 사례 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최근 판례 동향과 AI 규제 현황을 중심으로, 기관 개인정보 취급자들의 책임 의식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한 AI 발전을 위한 리스크 관리 모델을 조망할 예정이다.
최경진 교수(가천대학교)는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판례 동향 소개'를 통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과징금 처분과 관련된 법원 판결을 비롯해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최신 사례와 해석례를 소개한다.
강유민 고문(김앤장 법률사무소)은 '인공지능 프라이버시 정책 방향과 대응'을 주제로, AI의 기획부터 데이터 수집, 학습, 서비스 제공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개인정보 보호 조치와 주요 쟁점을 다루며, 지속 가능한 AI 발전을 위한 리스크 관리 모델을 설명할 예정이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공공 부문의 신뢰할 수 있는 AI 서비스 운영과 위험 요소 대응 체계를 사례 중심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는 발표가 진행된다.
김범수 교수(연세대학교)는 '신뢰할 수 있는 공공분야 AI서비스 운영'강연을 통해, 공공 AI 서비스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신뢰성·윤리성·법적·기술적 요건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운영 체계 구축 방안을 사례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김완집 서울시 정보보안과장은 “AI 시대의 행정·산업 경쟁력은 데이터의 양과 질에 달려 있다”며 “선제적 기술변화 대응과 신뢰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및 데이터 활용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포럼이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AI 기술 발전에 대한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