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교육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사회통합전형 기회균형선발 비중 증가(9.2%→9.3%)

 

(포탈뉴스통신)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양오봉)는 6월 30일, ‘2025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한다.

 

대학정보공시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실시하고 있으며 2025년은 총 408개 대학이 공시 대상이다. 6월에는 신입생 선발 결과 등 총 4개 분야, 26개 세부 항목에 대해 공시하며,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는 6월 30일 9시부터 대학알리미 누리집에 공시된다.

 

정보공시 내용에 대한 분석은 총 322개교(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3개교, 전문대학 129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사이버대학, 폴리텍 대학, 대학원대학 등 86개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항목별로는 4개 분야 26개 세부 항목 중에서 신입생 선발 결과, 산학협력 현황 2개 분야의 총 7개 세부 항목에 대해 분석했다.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3개교의 6월 공시항목별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신입생 선발 결과

 

1. 사회통합전형 기회균형선발 결과

2025년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48,352명 중 사회통합전형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9.3%(32,529명)로, 2024년 9.2%(31,122명) 대비 0.1%p 증가했다.

 

사립대학의 비율은 9.5%로 국·공립대학(8.8%)보다 0.7%p 높았고, 수도권대학의 비율은 10.7%로 비수도권대학(8.4%)보다 2.3%p 높았다.

 

2.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현황

2025년 일반 및 교육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74.7%(260,346명), 특수목적고 4.1%(14,338명), 특성화고 6.9%(23,903명), 자율고 5.4%(18,891명), 기타 8.9%(30,874명)이다.

 

국·공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80.9%로 사립대학(72.9%)보다 8.0%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7.0%로 수도권대학(71.5%)보다 5.5%p 높았다.

 

Ⅱ. 산학협력 현황

 

1. 기술이전 실적 및 이전 수입료

2024년 기술이전 실적은 5,624건으로 2023년(5,703건) 대비 1.4% 감소했으나, 기술이전 수입료는 1,186.3억 원으로 2023년(1,001.9억 원) 대비 18.4% 증가했다.

 

2.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현황

2025년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수는 10,736명으로 2024년(10,222명) 대비 5.0%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2,896명으로 2024년(2,574명) 대비 12.5% 증가했으며, 사립대학은 7,840명으로 2024년(7,648명) 대비 2.5%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4,751명으로 2024년(4,442명) 대비 7.0% 증가했으며, 비수도권대학은 5,985명으로 2024년(5,780명) 대비 3.5% 증가했다.

 

3. 창업기업 및 창업강좌 현황

2024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1,825개로 2023년(1,951개) 대비 6.5% 감소했다.

 

2024년 창업강좌 수는 10,845개로 2023년(9,501개) 대비 14.1% 증가했고, 창업강좌 이수자 수는 363,457명으로 2023년(338,988명) 대비 7.2% 증가했다.

 

4. 주문식 교육과정 운영 현황

2024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239개로 2023년(212개) 대비 12.7% 증가했고, 참여 학생 수는 11,609명으로 2023년(10,834명) 대비 7.2% 증가했다.

 

5. 계약학과 운영 현황

2025년 계약학과 수는 235개로 2024년(235개)과 동일하고, 학생 수는 9,636명으로 2024년(9,338명) 대비 3.2%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39개로 2024년(40개) 대비 2.5% 감소했고, 학생 수는 2,767명으로 2024년(2,625명) 대비 5.4% 증가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158개로 2024년(164개) 대비 3.7% 감소했고, 학생 수는 4,753명으로 2024년(4,845명) 대비 1.9% 감소했다.

 

‘혼합형’ 계약학과 수는 38개로 2024년(31개) 대비 22.6% 증가했고, 학생 수는 2,116명으로 2024년(1,868명) 대비 13.3% 증가했다.

 

전문대학 129개교의 6월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Ⅲ. 신입생 선발 결과

 

1. 기회균형 선발 결과

2025년 전문대학 전체 입학생 145,636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2.5%(3,710명)로, 2024년 3.0%(4,112명) 대비 0.5%p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비율은 2.6%로 공립대학(0.4%)보다 2.2%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3.6%로 비수도권대학(1.8%)보다 1.8%p 높았다.

 

2.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현황

2025년 전문대학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58.2%(84,748명), 특목고 2.1%(3,129명), 특성화고 20.2%(29,347명), 자율고 1.8%(2,654명), 기타17.7%(25,758명)이다.

 

사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58.3%로 공립대학(53.4%)보다 4.9%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68.8%로 비수도권대학(50.3%)보다 18.5%p 높았다.

 

Ⅳ. 산학협력 현황

 

1. 기술이전 실적 및 이전 수입료

2024년 기술이전 실적은 108건으로 2023년(96건) 대비 12.5% 증가했으며, 기술이전 수입료는 310백만 원으로 2023년(335백만 원) 대비 7.5% 감소했다.

 

2.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현황

2025년 산업체 경력 전임교원 수는 2,574명으로 2024년(2,472명) 대비 4.1% 증가했다.

 

공립대학은 23명으로 2024년(20명) 대비 15.0% 증가했으며, 사립대학은 2,551명으로 2024년(2,452명) 대비 4.0%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1,085명으로 2024년(1,048명) 대비 3.5% 증가했으며, 비수도권대학은 1,489명으로 2024년(1,424명) 대비 4.6% 증가했다.

 

3. 창업기업 및 창업강좌 현황

2024년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220개로 2023년(212개) 대비 3.8% 증가했다.

 

2024년 창업강좌 수는 4,442개로 2023년(4,706개) 대비 5.6% 감소했고, 창업강좌 이수자 수는 112,433명으로 2023년(114,442명) 대비 1.8% 감소했다.

 

4. 주문식 교육과정 운영 현황

2024년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993개로 2023년(962개) 대비 3.2% 증가했고, 참여 학생 수는 38,576명으로 2023년(39,225명) 대비 1.7% 감소했다.

 

5. 계약학과 운영 현황

2025년 계약학과 수는 153개로 2024년(148개) 대비 3.4% 증가했고, 학생 수는 4,119명으로 2024년(4,030명) 대비 2.2%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8개로 2024년(22개) 대비 63.6% 감소했고, 학생 수는 276명으로 2024년(441명) 대비 37.4% 감소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100개로 2024년(100개)과 동일했고, 학생 수는 2,913명으로 2024년(2,919명) 대비 0.2% 감소했다.

 

‘혼합형’ 계약학과 수는 45개로 2024년(26개) 대비 73.1% 증가했고, 학생 수는 930명으로 2024년(670명) 대비 38.8% 증가했다.


[뉴스출처 : 교육부]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문화 산업으로 일자리 만들고, 국력 키우는 방안 고민" (포탈뉴스통신) 이재명 대통령은 30일 "대선 기간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보고 대한민국의 문화적인 잠재력에 놀랐다"면서 "문화 산업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국력을 키울 방안을 고민하게 됐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전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문화가 워낙 다종다양해 문화 정책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도, 문체부장관 후보자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며 "관료적 탁상공론이 아니라 수요자들이 정말 원하는 정책을 가감 없이 발굴하고 실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는 문화예술인을 초정해 '문화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제78회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 1등상을 수상한 허가영 감독 ▲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메인 연출을 맡은 김원석 감독이 참석했다. 먼저 참가자 중 김원석 감독은 한국적인 이야기가 세계의 시청자를 울린 이유를 보편성과 휴머니즘의 힘이라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대규모 세트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3대질병보험, 비갱신형암보험 가입 시 보험비교사이트 활용법. (포탈뉴스통신) 3대질병으로 일컬어지는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은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진단비를 집중적으로 보장해 주는 보험상품을 3대질병진단비 보험이라 할 수 있다. 3대질병진단비보험은 대부분의 보험사에서 판매하고 있는데, 우선 암진단비 특약에 가입할 경우 보통 일반암 진단비를 기준으로 보험금이 지급된다. 암보험금은 진단시 일시에 지급되므로 필요한 용도로 자유로이 사용이 가능한데, 암과 뇌/심장질환에 대한 보장이 충분하다면 수술비보험 특약이나 질병후유장해 같은 특약을 추가로 설계하여 폭넓은 보장과 함께 종합형 상품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이 같은 3대질병에 대한 진단비 보험은 중복가입시에도 실손보험과는 다르게 중복보장이 가능하므로 중대질병으로 인해 장기치료가 필요한 경우 소득단절 및 간병비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복수로 가입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중복가입의 경우 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3대질병보험 비교사이트를 활용하여 판매회사 및 상품별로 가격을 비교해 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우선, 암보험을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