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남양주시, 2023년 제2차 규제개혁위원회 개최

기존규제 16건 중 15건 개선 권고 의결

 

(포탈뉴스) 남양주시는 지난 20일 남양주시청 맑음이방에서 11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제2차 남양주시 규제개혁위원회 위원회를 마무리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위원회는 규제입증책임제를 통해 발굴된 자치법규의 규제 요소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최됐다. 규제입증책임제는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을 제한하고 시민 일상에 불편을 주는 등 불합리한 규제를 완화·폐지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시는 이번 위원회의 심의안건을 발굴하기 위해 관내 기업인회·소상공인 단체 및 인허가 대행업체 등 397개소에 규제혁신 홍보물과 함께 공문을 발송했으며, 3개월여에 걸쳐 35개 자치법규 156개 조항에서 규정하고 있던 규제를 전수조사해 존치 여부에 대한 소관부서의 의견을 수렴했다.

 

위원회는 발굴된 안건 중 상위법령의 위임범위를 일탈하거나, 완화 여지가 있는 개선과제 16건을 선정해 심의안건으로 상정했고, 16건 중 15건을 개선하도록 의결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체육시설 및 시립박물관의 사용 허가(대관) 이후 사용자의 귀책 사유와 무관한 사유로 허가를 취소할 경우에는 납부된 사용료를 반환하지 않거나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규정을 삭제하도록 했다.

 

또한, 건축법상 6미터 이상 도로에 4미터 이상 접해야 하는 접도 의무의 예외 대상에 연면적 3천㎡ 미만 축사 및 작물재배사, 그리고 그와 비슷한 건축물을 건축조례에 추가하도록 하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규제 내용이 포함됐다.

 

위원회를 주재한 이석범 남양주시 부시장은 “최근 국제적 경기 불황으로 내수경기가 침체했고, 물가 상승과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인 세수마저 감소해 그 어느 때보다 규제개혁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규제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시민과 기업에 불편과 부담을 주는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법령의 위임 사항이 명확하지 않아 조례로 규정하기 어렵거나 불합리한 규정으로 시민의 권익을 제한하는 상위법령 등에 대하여는 추후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소관 중앙부처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기도 남양주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외국민 선거법 제한·금지 행위 주요 사례 (포탈뉴스통신) 해외에서 선거법에 따라 제한·금지되는 행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시다고요? 재외선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거법 위반사례, 알려드릴게요. Q. 한인회 대표자가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를 위해 재외국민에게 선물 또는 금품 음식을 나눠주기, 가능할까요? A. 금품 등을 주는 것은 물론, 받는 것도 위반행위이므로, 주는 행위도, 받는 행위도 절대 안 돼요. 금품 등을 제공하는 기부행위는 유권자를 매수하여 불공정한 금권선거로 이어지기 때문에 할 수 없습니다. Q. 한인 신문에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를 지지하는 내용을 광고하기, 가능할까요? A. 한인 방송·신문·잡지, 기타 간행물에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를 지지, 추천 또는 반대하는 내용이 포함된 광고를 할 수 없습니다. Q. 특정 후보자를 지지하는 현수막을 재외국민이 많이 다니는 거리에 걸어두기, 가능할까요? A.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를 지지하거나 선전하는 내용이 담긴 현수막 및 소품을 설치·사용할 수 없습니다. Q. 선거운동을 위해 AI 등을 이용하여 만든 딥페이크 영상을 제작 또는 게시하는 건 어떨까요? A. 제작하여 게시하는 행위는 물론, 단순히 공유하는 행위도 금지되니 주의해야 해요. 유권자에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