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5.7℃
  • 맑음서울 21.2℃
  • 맑음대전 19.8℃
  • 맑음대구 23.7℃
  • 맑음울산 21.5℃
  • 맑음광주 19.7℃
  • 맑음부산 21.0℃
  • 맑음고창 18.1℃
  • 맑음제주 20.7℃
  • 맑음강화 19.2℃
  • 맑음보은 16.1℃
  • 맑음금산 16.3℃
  • 맑음강진군 20.5℃
  • 맑음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1℃
기상청 제공

사회

달성문화도시, 주민주도형 문화기획 지원사업 ‘일상이 문화’오는 27일까지 공모

2024년 권역별 주민주도 문화예술 기획 프로그램 지원…팀당 최대 100만 원

 

(포탈뉴스) 달성문화재단(이사장 최재훈) 달성문화도시센터는 일상 문제의 문화적 해결과 주민의 문화 수요 충족을 위해 주민이 주도하는 문화예술 기획 프로그램 지원사업 ‘2024 일상이 문화’를 5월 27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권역별 문화활동가들을 주축으로 약 45회의 프로그램이 진행된 ‘일상이 문화’ 사업은 주민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추진되어왔다. 이 사업은 올해 역시 지역주민의 문화기획 역량 강화와 지역 내 문화자원 발굴을 위해 주민주도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2024년 ‘일상이 문화’ 사업은 달성문화도시 권역별 문화활동가로 활동하는 2인 이상의 지역주민 모임이 신청할 수 있으며, 일상 문제를 문화적으로 해결하거나 각계각층의 문화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공모한다.

 

문화활동가 신청 방법을 비롯한 ‘2024 일상이 문화’ 사업 관련 정보는 달성문화재단 홈페이지(www.dsart.or.kr 'http//www.dsart.or.kr')를 통해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공모 접수기간은 오는 5월 13일부터 27일까지다. 신청 희망자들은 관련 서식을 작성해 방문접수·우편·이메일(다사·하빈·가창 신청 시 miso216@dspedia.or.kr 'mailto:miso216@dspedia.or.kr', 그 외 지역은 sun1@dspedia.or.kr 'mailto:sun1@dspedia.or.kr')을 통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접수된 응모 사업은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되며 △화원·옥포·논공권역 △현풍·유가·구지권역 △다사·하빈권역 △가창권역 총 4개의 권역별 20팀 이내로 선발할 예정이다. 선정된 단체는 10월 말까지 사업을 진행할 수 있고, 팀당 최대 100만 원 내외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활동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달성문화도시센터 관계자는 “주민 스스로 권역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고민하여 기획·운영하는 주민 제안 문화예술 공모사업을 통해 지혜와 경험이 축적된 특색있는 프로그램이 다수 발굴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대구시 달성군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
강남노무법인, 제7회 대한민국소비자평가우수대상 시상식서 인사/노무 분야 우수대상 수상 쾌거 (포탈뉴스) 제7회 대한민국소비자평가우수대상 시상식이 5월 27일(월)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백혜련 국회의원실, 창업경영포럼 공동 주최로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송석준 국회의원을 대회장으로, 공동주관은 소비자연맹사회적협동조합, 소비자저널협동조합, 소비자저널(언론) 등이 참여했으며, 소비자단체에서 수여하는 우수대상은 그 규모와 단체들의 활동면에서 대한민국에서는 가장 권위와 품위가 있는 소비자 단체 시상으로 알려졌다. 단체에서 평가는 소비자평가솔루션기반우수·협단체·제품·서비스·전문가 대상으로 각 직종과 직군별로 평가하여 우수대상 수상단체·회사·개인을 선별하여 까다로운 심의절차를 거쳐 대상자를 선발했다고 한다. 강남노무법인은 2005년 5월 26일 공인노무사 4명이 뜻을 모아서 설립했으며, 설립 때부터 외투기업 전문 노무법인으로 성장하기로 약속을 하고 시작한 기업이다. 또한 강남노무법인은 ‘외투기업 No. 1 노무법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노무법인과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첫 째, 국문과 영문으로 된 기본서 3권 -『한국노동법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