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6 (일)

  • 흐림동두천 17.2℃
  • 구름조금강릉 15.4℃
  • 흐림서울 20.4℃
  • 맑음대전 17.3℃
  • 맑음대구 16.6℃
  • 구름조금울산 15.0℃
  • 맑음광주 20.1℃
  • 구름조금부산 16.7℃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9.7℃
  • 구름많음강화 17.1℃
  • 구름조금보은 18.7℃
  • 맑음금산 15.4℃
  • 맑음강진군 18.8℃
  • 구름조금경주시 16.3℃
  • 구름조금거제 16.4℃
기상청 제공

경제

부산시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 출범'… 1년간 초기 창업기업 60개사 육성

5.14. 14:00 아바니센트럴부산에서 '제16기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 출범식 개최

 

(포탈뉴스) 부산시는 부산경제진흥원과 오늘(14일) 오후 2시 아바니센트럴부산(남구 문현동 소재)에서 '제16기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출범식에는 ‘2024년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지원사업’에 선정된 60개사의 예비·초기 창업기업 대표 등 70여 명이 참석해, 사업 오리엔테이션 및 기업 관계망(네트워킹)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은 2010년 시작해 15년째 추진하고 있는 예비·초기 창업기업을 위한 대표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이다.

 

지난 3월 부산창업포털을 통해 예비·1년 미만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모집 공고를 했고, 총 60개사 모집에 229개사가 지원하며, 3.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시는 이번에 선정된 기업에 최고 2천6백만 원의 사업화 자금을 비롯해 사업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기업기초 역량진단, 맞춤형 기본교육 등을 지원한다.

 

사업화 자금은 기본 8백만 원에 우수기업 선정 시 최고 1천8백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사업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비즈니스 모델(BM) 고도화 ▲소비자 반응조사 ▲투자유치 역량강화 등이다.

 

한편,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은 2019년 '부산광역시 기술창업 지원 조례' 제정으로 기술 기반의 초기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해, 지난 5년간 예비․초기 창업기업 448개사를 발굴하고 1천3백여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해 왔다.

 

특히, ▲4기 졸업기업 ‘소셜빈’은 2013년 창업 이후 224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고 2021년 부산 최초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유니콘’ 선정 ▲9기 졸업기업 ‘(주)브이드림’은 2018년 창업 이후 100억 원 투자 유치 ▲13기 졸업기업 ‘넥스세라’는 2021년 창업 이후 133억 원의 투자 유치 및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 ‘아기유니콘’ 선정 등 매년 우수한 업체를 발굴해 내고 있다.

 

김성조 시 금융창업정책관은 “'기술창업 인큐베이팅 사업'은 우리시 창업 생태계의 초석을 다지는 사업으로, 올 한 해도 지역 내 유망 초기 창업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이들이 성공적으로 사업에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뉴스출처 : 부산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재)광명시청소년재단 나름청소년활동센터와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청소년 ‘2024년 경기도 청소년상 경기도지사상’수상! (포탈뉴스) (재)광명시청소년재단(대표이사 박성숙) 나름청소년활동센터 소속 최원서 청소년과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강지훈 청소년이'2024 경기도 청소년상'경기도지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2024 경기도 청소년상'은 ▶노동 ▶효행 ▶봉사 ▶나라사랑 ▶면학 ▶과학기술 ▶예체능 ▶개척 총 8개 분야에서 적극적 활동과 우수한 성과를 보인 청소년을 선정하여 경기도지사상을 수여했다. 나름청소년활동센터 소속 최원서 청소년은 2017년부터 과학과 공학에 대한 깊은 관심과 재능을 바탕으로 나름청소년활동센터에서 다양한 과학프로젝트와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며 과학적 소양과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관련학과에 전공하며, 센터 내 초·중·고등 청소년 멘토링과 과학교육 강사로 활동하며 후배 청소년 양성에 힘쓰고 있는 노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광명시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소속 강지훈 청소년은 학교라는 틀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다양한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목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그 후 문화, 예술, 학업, 취(창)업 분야를 가리지 않고 자격증을 취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