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5.0℃
  • 맑음강릉 29.5℃
  • 구름조금서울 26.2℃
  • 흐림대전 24.0℃
  • 흐림대구 22.4℃
  • 흐림울산 22.1℃
  • 흐림광주 21.6℃
  • 흐림부산 22.4℃
  • 흐림고창 20.7℃
  • 제주 22.0℃
  • 맑음강화 24.7℃
  • 흐림보은 21.2℃
  • 흐림금산 21.8℃
  • 흐림강진군 20.8℃
  • 흐림경주시 22.2℃
  • 흐림거제 20.4℃
기상청 제공

대전시, 시립연정국악원 창작사극 뮤지컬 '왕자대전'

아시아 최대 규모 뮤지컬 축제 2023 DIMF어워즈 창작뮤지컬상 수상작

 

(포탈뉴스)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은 아시아 최대 규모 뮤지컬 축제2023년 제17회 DIMF 어워즈(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에서 창작뮤지컬 상을 수상한 창작 사극 역사 뮤지컬 '왕자대전'을 7월 5일부터 7일까지 무대에 올린다.

 

지난해 고려와 조선 역사적 인물들의 대립을 그렸던 기획공연 창작 사극 뮤지컬'창업'의 후속 이야기로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 배우 서범석이 제작과 출연에 참여했다.

 

뮤지컬 왕자대전은 두 손에 형제들의 피를 묻히고 왕좌에 오른 태종 이방원과 하루아침에 운명이 바뀌게 된 세 명의 왕자와 운명에 대한 이야기다.

 

태종은 가장 자신을 닮은 세자(양녕대군)가 성군이 되길 바라고 세자 또한 태종에게 실망을 주지 않으려 노력하지만 점점 답답함과 공허함을 느낀다.

 

어느 날 밤, 자신을 이해해 줄 누군가를 찾아 몰래 궁을 벗어나고 결국 자신의 자리를 찾는 과정을 담았다.

 

군주이며 아버지 태종 이방원 역에는 한국뮤지컬 시장에서 굵직한 작품에서 주연과 조연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서범석과 탄탄한 연기력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 중인 장대성이 맡았다.

 

강인한 적장자 세자인 양녕대군에는 배우 민시윤, 따뜻한 심성의 둘째 효령대군은 배우 임동주가 맡았고 세종대왕이 되는 충령대군은 김동형 배우가 연기한다.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것을 도운 강인한 여성이자 어머니의 마음으로 세 왕자를 지키고 싶어 했던 원경왕후에는 배우 홍금단, 아름다운 여주인공 어리 역에는 오승연 배우가 출연하고 김도언, 김민철, 오현석, 임재민 배우가 앙상블을 맡았다.

 

공연은 지루할 수 있는 역사적 이야기를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으로 제작하여 뮤지컬로서 시원한 뮤직넘버를 통해 한층 더 재미있게 풀어내어 교육적이면서도 역사적 갈등을 유머스럽고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관계자는“공연을 통해 역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이면서 흔히 접할 수 없는 수준 높은 사극 뮤지컬의 새로운 무대와 음악을 청소년과 온 가족이 함께 감상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공연 입장료는 VIP석 77,000원 R석 66,000원, S석 44,000원으로 인터미션 없이 115분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립연정국악원과' 인터파크에서 가능하다.


[뉴스출처 : 대전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尹 대통령, 정신건강정책 대전환을 위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주재 (포탈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6월 26일 오전 서울시 소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첫 번째 회의를 주재했다.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는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정신건강정책 비전선포대회'에서 설치를 약속한 것으로, 정신건강 분야에서 대통령 직속 위원회를 출범시킨 것은 역대 정부 중 이번이 처음이다. 대통령은 작년 8월 국무회의에서 국민의 정신건강을 국가가 챙기겠다고 밝히고, 같은 해 12월 정신건강정책을 그동안의 치료 중심에서 ‘예방, 치료, 회복에 걸친 全 주기 지원체계로 대전환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한 바 있다. 이번 회의는 비전 선포 이후 세부 이행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대통령은 이날 “여러분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라는 인사로 모두 발언을 시작했다. 대통령은 한반도에 인류가 산 이래 가장 풍요로운 시절임에도 많은 국민은 자신의 삶이 불행하다고 느낀다면서, 국민이 행복하지 않으면 국가가 제 역할을 못하는 것이라며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국정과제로 대두된 배경을 설명했다. 대통령은 정부가 그동안 정책 당사자,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료, 심리, 상담, 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오늘 논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