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32.6℃
  • 맑음강릉 30.6℃
  • 맑음서울 32.4℃
  • 맑음대전 31.0℃
  • 구름조금대구 32.2℃
  • 맑음울산 27.0℃
  • 구름많음광주 30.2℃
  • 구름조금부산 26.8℃
  • 구름조금고창 29.8℃
  • 구름많음제주 27.5℃
  • 맑음강화 28.1℃
  • 맑음보은 30.8℃
  • 구름조금금산 31.2℃
  • 구름많음강진군 28.5℃
  • 구름조금경주시 30.1℃
  • 구름조금거제 26.6℃
기상청 제공

의료/보건

질병관리청,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보급

65세 이상 어르신, 추락·낙상 조심하세요!

 

(포탈뉴스) 질병관리청은 노인 낙상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과 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보급(6.27.)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이 손상 발생 및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 노인손상의 주요기전이 추락·낙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추락·낙상을 예방하고자 표준화된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보급 하게 됐다.

 

1. 노인 손상 발생 규모

 

2022년 100병상 이상 일반병원에서 퇴원한 만 65세 이상 노인 손상 추정환자는 428,508명으로 전체 연령 중 41.3%를 차지했다. 이는 5년 사이 10.0%p 증가한 것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그림 1 참고). 65세 이상 노인의 손상 퇴원율(인구 10만 명당)은 4,751명(남자 3,850명, 여자 5,451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1.4배 높았다

 

2. 노인 손상의 주요 기전은 추락·낙상

 

손상기전별 퇴원율(인구 10만 명당)은 추락·낙상이 3,095명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수사고가 744명으로 나타나, 추락·낙상에 의한 노인 인구의 입원이 운수사고로 인한 경우보다 약 4.2배 높음을 알 수 있다

 

미국에서도 2021년 65세 이상 노인 75.3명(인구 10만 명당)이 추락·낙상으로 사망했으며, 이는 2012년(55.4명)에 비해 약 41% 증가한 것으로, 노인의 추락·낙상에 의한 손상은 국가차원에서 관리해야 할 세계적인 보건문제임을 시사한다

 

3. 주로 주거지에서, 일상생활 중 발생

 

노인 추락·낙상 사례의 퇴원율(인구 10만 명당)을 발생장소별로 분석한 결과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1,262명으로 가장 많았고, 길·간선도로(298명), 농장(108명), 의료시설(104명) 순으로 많았다(그림 5 참고). 또한, 노인의 추락·낙상은 일상생활 중(인구 10만 명당 1,038명)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6 참고). 일상생활 중 주거지에서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질병관리청은 가정 및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추락·낙상 예방을 위한 실내 환경요인 점검표를 개발했다.

 

4. 질병관리청, 노인 낙상 예방 운동 프로그램 및 전문가 양성과정 개발·배포

 

또한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및 이를 보급하기 위한 교육 전문가 양성 과정을 개발(2023년)하고 시범운영을 실시했다.

 

특히, 교육 실시 전에 개개인의 낙상위험도를 평가한 후 개인의 수준에 맞추어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 전 체력 점검표를 개발했고, 평가 결과에 따라 운동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은 기초군과 일반군으로 구분하여 난이도가 다른 2종의 운동 교육 동영상을 개발했다. 또한, 가정 및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낙상 예방을 위한 실내 환경요인 점검표를 함께 배포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노인 낙상은 장기간 요양 및 반복 입원의 주요 원인으로, 체력 손실,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노인은 개개인의 근력이나 체력요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능력에 맞는 근력 및 균형운동이 수반되어야 효과적이다”라며, “노인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과 동영상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적극 활용되어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과 낙상 예방을 위한 실내 환경요인 점검표(가정용, 기관용), 노인 낙상 예방교육 전문가 양성 교재는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출처 : 질병관리청]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