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생활상식

국토교통부, 결혼·출산하면 청약 혜택 꽃길!

2025 주택청약 제도 개편 핵심 요약

 

(포탈뉴스통신) 신혼부부 특별공급 얼마나 늘었을까?

'민영주택 특공 물량 비율'

· 주택유형: 민영주택 → 민영주택

· 대상주택: 전용면적 85㎡이하 분양주택 → (변경 후)전용면적 85㎡ 이하 분양주택

· 공급물량: 건설량의 18% 내 → 건설량의 23% 내

 

민영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이 5%p 늘어났어요!

대신, 국민주택이나 공공주택의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은 그대로에.

국민주택은 30%, 공공주택은 10~15% 내에 물량을 배정하고 있어요!

 

신생아 있는 가정 더 유리해집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신생아 우선공급 비율 상향'

· 신생아우선공급: 15% → 25%

· 신생아일반공급: 5% → 10%

· 우선공급: 35% → 25%

· 일반공급: 15% → 10%

· 추첨공급: 30% → 30%

 

신생아가 있는 가구는 당첨의 기회가 더 높아졌어요!

여기서 잠깐, 신생아가 있는 가구란?

→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 2년 이내 출생한 자녀(임신, 입양 포함)가 있는 경우에요!

신혼부부 특별공급처럼 신생아우선공급이 있는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변경되지 않아요.

 

신혼부부 특공 무주택 요건이 더 완화

· 이전: 혼인신고일부터 공고일까지 무주택 세대여야 함

· 이후: 모집공고일에만 무주택 세대면 OK!

 

· 이전: 배우자의 혼인 전 당첨 이력만 배제

· 이후: 신청자 본인의 혼인 전 당첨 이력도 배제

※ 단, 신혼부부 특공에 한함

 

결혼하면 당첨이력 1회 리셋!

신혼부부 특별공급 혼인특례 신설

 

공공주택 일반공급 기회 확대

△ 공공주택 일반공급도 신생아 혜택 도입

- 신생아 우선공급 신설(공공주택 일반공급 내)

 

· 공공분양: 전체 공급 물량의 최대 50% 신생아 우선공급

· 공공임대: 전체의 5% 신생아 우선공급 도입

 

△ 맞벌이 소득 기준도 완화

- 소득 요건 변경 (공공주택 일반공급)

· 순차제 100% → 140%

· 추첨제 100% → 200%

 

* 2025년 기준 월 1,440만 원까지 가능!

* 맞벌이도 걱정 없이 청약 신청 가능해요.

 

출산특례 신설

출산하면 특공 한 번 더!

출산특례 신설(2024.6.19. 이후 출산자 대상)

 

· 특공 당첨 기회

생애 1회 제한 → 출산시 1회 추가 허용

* 신혼부부, 신생아, 다자녀, 노부모부양 특별공급에 한함

 

임신·출산·입양도 포함!

특별공급 당첨 이력이 있어도 자녀가 생기면 한 번 더 청약 기회 제공!

 

※ 혼인특례와 출산특례 동시사용 불가

 

핵심 요약

· 신혼부부 특공: 민영주택 물량 23% 확대

· 신생아 우선: 민영신혼특공 35% 공공일반 50%

· 자격 완화: 무주택 요건 완화, 청약이력 배제

· 출산특례: 당첨 이력 있어도 1회 더 가능

· 맞벌이 청약: 소득 상한 200%까지 확대


[뉴스출처 : 국토교통부]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창원특례시,‘고민 파세요~ 고민팔이 소녀’대산초에서 첫 촬영 진행 (포탈뉴스통신) 창원특례시는 3일 미래세대인 어린이들의 시선으로 창원을 바라보고 그들의 진솔한 고민과 바람을 듣는 시민참여형 콘텐츠 ‘고민 파세요~ 고민팔이 소녀’ 첫 촬영을 대산초등학교에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콘텐츠는 창원시가 미래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어린이의 시선에서 시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기획한 유튜브 영상으로, 진행자인 ‘고민팔이 소녀’가 아이들과 직접 인터뷰를 나누고 ‘고민을 사는’ 방식으로 꾸며져 재미와 공감을 더했다. 특히 촬영 중 학생들이 직접 손글씨로 작성한 ‘창원시에 바라는 점’과 ‘생활 속 불편사항’은 관련 부서에 전달되어, 실질적인 행정 피드백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시는 이번 콘텐츠가 단순한 재미를 넘어, 우리 시의 미래를 살아갈 새싹 시민인 어린이들의 순수한 시선을 통해 일상의 불편함이나 도시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고 시정에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동호 공보관은 “창원의 미래이자 소중한 시민인 아이들의 고민에 귀 기울이는 이번 콘텐츠가 행정과 시민이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세대별로 공감할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