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회

배준영 의원, “열차 부정승차 총 362만 건… 5년 새 3배 증가”

전국 열차 부정승차 362만 건·피해액 330억 원… 5년 새 3배 이상 급증

 

(포탈뉴스통신) 최근 5년 8개월간 열차 부정승차는 총 362만여 건에 달했으며, 지난해는 2020년 대비 3배 이상(▲2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배준영 의원이 한국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8개월(2020년~2025년 8월) 동안 전국 열차에서 적발된 부정승차는 총 362만 7,256건으로 피해금액은 약 330억 5,1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0년 34만 3,108건(30억 9,700만 원)에서 2024년 111만 5,435건(88억 5,700만 원)으로 5년 새 3배 이상 급증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71만 8,610건(58억 5,900만 원)이 적발되는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5년 8개월 동안 간선 여객열차(KTX·새마을·무궁화 등)에서 적발된 부정승차 건수는 122만 6,068건, 금액은 284억 1,600만 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14만 573건(26억 9,100만 원), 2021년 17만 3,018건(33억 6,600만 원), 2022년 20만 3,007건(44억 7,500만 원), 2023년 24만 241건(57억 9,500만 원), 2024년 28만 4,664건(72억 9,900만 원)이었으며, 올해 1~8월에도 18만 4,565건(47억 9,000만 원)이 적발됐다.

 

적발 유형으로는 승차권 미소지가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2024년 기준 승차권 미소지 적발 건수는 27만 8,560건(97.8%)으로 집계됐으며, 그 밖에 ▴타 열차 승차권 소지 ▴할인권 부정사용(캡처·사진 등) ▴차내 변경 등이 뒤를 이었다.

 

광역철도(수도권 전철 등) 부정승차 건수도 총 240만 1,188건, 금액으로는 약 46억 3,480만 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20년 20만 2,535건(4억 500만 원)에서 2024년 83만 771건(15억 5,700만 원)으로 4배 이상 증가했으며, 올해 1~8월에도 53만 4,045건(10억 6,900만 원)이 발생했다.

 

부정승차 유형으로는 ‘무표신고 등’이 82만 7,960건(99.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승차권 없음 ▴할인권 부정사용 순이었다. 또한 ▴경로 ▴장애인 ▴유공자 등 무임권 부정사용 사례도 적지 않았다.

 

부가운임은 부정승차 적발 시 기본 운임에 추가로 부과되는 벌금 성격의 요금으로, 철도사업법상 최대 30배까지 부과할 수 있다. 2025년 1월~8월 기준 열차별 최고 부과 금액은 ▴광역철도 431만 6,750원 ▴KTX 117만 9,200원 ▴새마을호 43만 3,700원 ▴무궁화호 33만 8,800원 ▴ITX-청춘 10만 7,800원으로 나타났다. 광역철도의 경우, 무표 반복 이용 및 승차권 무효 처리, KTX·무궁화 등 여객열차에서는 무자격 우대권 부정사용이 고액 부과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됐다.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부가운임 납부를 거부해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 인계된 사건은 총 3,995건이었다. 이 중 ▴통고처분이 3,261건(81.6%)으로 가장 많았고 ▴즉결심판 356건(8.9%) ▴훈방 340건(8.5%) ▴인계 10건(0.2%) 순이었다. 2025년 1~8월만 놓고 봐도 414건이 인계되는 등 납부 거부 사례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배준영 의원은 “부정승차는 단순 실수가 아닌 명백한 위법 행위”라며 “여객열차의 ‘승차권 미소지’, 광역전철의 ‘무표신고 등’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현장 검표와 시스템 개선을 병행해 억제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가운임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 정당하게 요금을 지불한 이용객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출처 : 배준영 의원실]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조재구 대표회장 이재명 정부 첫 지방시대위원회 참석 (포탈뉴스통신)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대표회장 조재구 대구 남구청장은 9월 30일 세종시에서 개최된 제22차 지방시대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하여 지역균형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추진전략 설계도’ 안건 심의에 함께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회의로서 지방시대위원회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균형성장 모델로 제시한 ‘5극 3특’ 국정과제의 구체적 실행방안의 심의를 위해 개최됐으며,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하여 중앙정부 위원, 지방4대협의체, 민간전문가 등 다양한 위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조재구 대표회장은 회의에서 “지방이 더 이상 보조적 존재가 아닌, 국가성장의 핵심축이 되어야 하며, 균형성장은 단순한 지역 지원을 넘어 지방이 자율성과 책임을 갖고 주도하는 구조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하며, ‘5극 3특’전략이 실효성 있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계획수립 단계부터 기초지방정부의 실질적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5극 3특(수도권, 충청권, 동남권, 대경권, 호남권/제주, 강원, 전북특별자치도)’ 추진전략 설계도는 전국을 5개 권역별 거점(극)으로 설정하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