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IT/과학

경남도, 피지컬AI 혁신거점 경남에서 ‘The Next AI’ 개막

구글클라우드, LG CNS 등 글로벌 기업과 도내 AI기업 간 ‘AI솔루션 매칭데이’ 마련

 

(포탈뉴스통신) 경상남도는 24일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The Next AI’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고 밝혔다.

 

미디어 퍼포먼스 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개회사와 축사, 개막 퍼포먼스, 전시장 투어가 이어졌다. 오프닝 공연은 인간과 인공지능(AI)의 공존과 미래를 상징하는 실감형 미디어 퍼포먼스로 마련돼, 인공지능 기술의 혁신이 새 시대를 여는 메시지를 생생하게 전달했다.

 

개막식에는 김명주 경상남도 경제부지사,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 강정현 경남ICT협회장, 성경빈 LG CNS 공공사업담당 임원을 비롯해 도내 주요 대학, 유관기관, AI기업 종사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도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열리는 ‘The Next AI’에서 피지컬AI 등 차세대 인공지능 패러다임을 선보인다. 창원컨벤션센터 제1·2전시장과 600A/B홀에서 국내외 AI 및 디지털 기업 약 80개사 150여개 부스 규모로 진행되며, 네이버, LG, 구글, 삼성 SDS 등 글로벌 선도 기업과 경남을 대표하는 ICT·제조 기업들이 참여해 최신 AI 기술과 산업별 적용 사례를 전시·시연하고, 협력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구글클라우드·네이버클라우드·LG전자(생산기술원)·LG CNS 등 글로벌기업과 도내 AI기업 간 협력을 도모하는 ‘AI 솔루션 매칭데이’가 개최돼, 상생 성장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외 바이어와 도내 기업 간 1:1 비즈니스 상담이 이뤄지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방산·제조 특화 AI 솔루션 등 경남 주력 산업과 AI의 융합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혁신 제품도 대거 공개된다. 디지털 트윈, 제조 DX(디지털 전환), 차세대 AI 인재 양성을 주제로 한 세미나와 전문 강연이 이어져 참가자들에게 폭넓은 정보와 영감을 제공한다.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이번 행사를 통해 제조 피지컬AI의 중심이 경상남도라는 것을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경상남도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피지컬AI 혁신거점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강진역·강진~광주 고속도로 개통 대비 라운드테이블 개최 (포탈뉴스통신) 강진군문화관광재단이 지난 22일 강진역과 강진~광주 간 고속도로 개통에 대비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고, 수요자 중심의 관광 패러다임 전환 및 강진의 생존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발제를 맡은 ㈜놀유니버스 김항기 실장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지역 관광의 활성화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며 일본 사례를 통해 지방의 고부가가치 인바운드 관광지 조성 사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강진만의 독특한 관광 브랜딩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에 참여한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강신겸 교수는 “강진역 개통에 맞춰 차량 없이 방문하는 세대를 위한 전략이 중요하다”며 “스쿠터, 전동킥보드 등 철도 이용 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모빌리티 수단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관광 시장의 확장과 다변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동신대 호텔경영학과 김영미 교수는 “여수에 기항하는 연합 크루즈 관광객을 타깃으로 강진을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숙박 시설은 일본처럼 고급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무안국제공항 재개를 대비한 중국인 관광객 대상 상품 개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완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