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0.9℃
  • 흐림강릉 11.4℃
  • 흐림서울 14.0℃
  • 대전 13.1℃
  • 대구 13.2℃
  • 울산 12.7℃
  • 광주 13.0℃
  • 부산 13.5℃
  • 흐림고창 13.1℃
  • 제주 17.0℃
  • 구름많음강화 10.5℃
  • 흐림보은 11.7℃
  • 흐림금산 12.5℃
  • 흐림강진군 13.5℃
  • 흐림경주시 12.5℃
  • 흐림거제 13.4℃
기상청 제공

사회

대구아트웨이 월간범어 11월 전시, 이미란 작가

머무름과 나아감의 경계에서, 스스로를 다시 걷는 이야기

 

(포탈뉴스통신)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문화예술본부에서 운영하는 대구아트웨이가 오는 11월 10일부터 30일(일)까지 기획전시실 1에서 입주작가 이미란의 개인전 ‘이 계단은 충분히 머물렀나 봅니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대구아트웨이의 월간 릴레이 전시 프로그램 ‘월간범어’의 11월 전시로, ‘머무름’과 ‘나아감’이라는 감정의 경계에 선 한 개인의 내면적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풀어낸다.

 

이미란은 오래 머물렀던 공간, 익숙한 시간 속에서 문득 ‘이제는 걸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전시는 그 사유의 과정을 한 소녀의 이야기로 형상화한다.

 

작가는 혼자만의 오롯한 시간을 보내던 토끼귀를 가진 소녀가 바람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과 닮은 누군가를 찾아 용기를 내 나아가는 이야기를 하나의 서사로 구성한다.

 

이야기는 책의 형태로 엮어내며 책 속 장면을 인쇄한 평면 작품 20점, 동일 내용을 영상으로 옮긴 5분가량의 영상, 전시 준비 과정 기록물 등이 전시된다.

 

전시 ‘이 계단은 충분히 머물렀나 봅니다’는 작가가 스스로에게 던진 문장이자, ‘머무름’이 끝나야만 새로운 ‘나아감’이 시작된다는 깨달음을 담고 있다.

 

이미란은 머무름의 시간 또한 창작의 중요한 일부로 바라보며, 잠시 멈추는 순간 속에서도 서서히 움직이는 감정의 흐름을 포착한다.

 

이미란은 머무름과 나아감의 서정을 시각적으로 탐구하며, 개인의 내면적 이야기를 섬세한 이미지로 풀어내는 작가이다.

 

작가는 북구어울아트센터에서 첫 개인전을 개최(2021)하고 대구학생문화센터, 서구문화회관 등에서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며 지역 청년 작가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의 작품은 대구 서구문화회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수성르네상스프로젝트(2023, 2025) 등에 연속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전시기간 동안 작가는 시민을 대상으로 한 참여형 프로그램 ‘전통 제본으로 만드는 나의 책’을 함께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오침안정법을 활용해 나만의 책을 직접 제작해보는 체험으로, 11월 12일과 11월 19일 오후 4시에 진행된다.

 

참여자는 흘려보내기 아쉬운 생각과 감정을 글과 종이 위에 묶으며, 머무름의 시간을 자신만의 이야기로 엮는 경험을 하게 된다.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회차당 최대 4명이며, 전 연령 참여가 가능하다(초등 3학년 이하 보호자 동반). 재료비는 1만 원이며, 또는 문자로 신청할 수 있다.


[뉴스출처 : 대구시]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포탈뉴스통신)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


경제핫이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