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7 (금)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경쟁력 있는 도시 부산, 공공부문 디자인에 투자하라!

부산시의회‘행복부산디자인연구회’제3차 정책토론회 개최

 

(포탈뉴스통신) 부산광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행복부산디자인연구회[대표의원 김광명(남구4, 국민의힘), 이하‘행부디’]가 주최하는 '행복부산디자인연구회 용역 중간보고회 및 제3차 토론회'가 24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김광명 대표의원을 비롯한 행부디 소속 의원들과 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서무성 회장, 주제발표를 맡은 부산디자인진흥원 강필현 원장, 부산시 미래디자인본부 김유진 본부장을 비롯하여 공무원, 시민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행사의 첫 순서는 행부디의 정책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싱크앤두랩의 ‘부산시 공공디자인 진단 및 리빙랩 운영을 통한 공공디자인·서비스 정책 연구’중간보고 발표로 이루어졌다.

 

부산시 동구 범일초등학교 일대를 대상으로 시민 중심의 공공디자인 진단을 실시하고 스쿨존 안전을 높일 수 있는 공공디자인 개선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동안 수행해 온 연구내용과 향후 추진계획을 공유했다.

 

이어 부산 디자인산업의 현황과 디자인기업 육성·지원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부산디자인진흥원 강필현 원장은 현대사회에서의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부산 디자인산업의 현황과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특히 디자인 산업의 영세성과 디자인 산업의 국가 불균형 현상 문제를 제시하고 중앙정부의 정책 투자와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 역량, 시민공감디자인단과 같은 공공정책모델 등을 기회요인으로 삼아 부산의 디자인산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발제자와 행복부산디자인연구회 소속 의원, 시민 간 자유토론이 이어졌다. 토론회에서는 디자인 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행정적 지원, 부산에서 배출되는 디자인 분야 청년 인재들이 부산에 정착할 수 있는 지원 방안, 디자인 산업 현장의 고충과 부산시에 바라는 정책들에 대해 행부디 소속 의원, 전문가, 디자인산업계 종사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졌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행부디 대표 김광명 위원장은 “올해‘행부디’를 만들어 디자인 전문가, 시민과 함께 안전, 주거, 환경 등 각종 사회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꾸준히 연구활동을 펼쳤다”라며 그간의 연구단체 활동을 회고하면서

 

“부산시에도 디자인 전담부서가 신설되어 추진동력을 얻은 만큼 행부디의 연구활동과 시너지를 내어 부산 발전과 시민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서비스 정책 아이디어가 많이 창출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의원 13명으로 구성되어 있는 의원연구단체 행부디는 올해 2월 23일 발족식을 가지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총 세 차례의 토론회와 1건의 정책연구 용역을 추진했다.


[뉴스출처 : 부산시의회]


포토이슈


정치

더보기
비수도권 민주당 광역단체장,지방의 먹사니즘을 위한지방특화형 가업상속 공제제도 개선 건의 (포탈뉴스통신)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지난 25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비수도권 광역단체장들의 뜻을 모아 ‘지방특화형 가업상속 공제제도 개선 공동 건의문’을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등 비수도권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역자치단체장 4명은 지방특화형 가업상속공제 제도 개선안의 국회 통과를 공동 건의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 지사는 이번 건의문에서 국가 균형발전의 다음 단계로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균형발전’을 제시했다.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균형발전’은 그동안 국가와 행정 중심의 균형발전 정책에서 더 나아가 지방의 경제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방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지원하자는 것이다. 즉, 프론티어 기업이 이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여 지방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지방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동시에 지방의 먹고사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해결하는 균형발전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그동안 중소기업과 매출액 5천억원 미만 중견기업에만 적용하던 가업상속공제 대상을 기회

사회

더보기


경제핫이슈

더보기